피앤피뉴스 - [메가피셋] 7급 PSAT 인사이트 “PSAT 진단과 맞춤전략Ⅱ-자료해석”

  • 구름많음동두천10.6℃
  • 구름많음고창13.5℃
  • 흐림보령13.6℃
  • 구름많음인천11.4℃
  • 흐림태백9.4℃
  • 박무홍성11.5℃
  • 구름많음대구13.1℃
  • 구름많음영광군
  • 흐림울릉도15.4℃
  • 흐림포항14.5℃
  • 흐림속초11.2℃
  • 구름많음청송군11.7℃
  • 구름많음보성군14.1℃
  • 구름많음산청11.4℃
  • 흐림구미12.0℃
  • 흐림부안14.6℃
  • 구름많음고흥11.9℃
  • 구름조금성산17.4℃
  • 구름많음철원9.4℃
  • 구름많음거창11.3℃
  • 구름많음북부산12.6℃
  • 흐림세종12.2℃
  • 흐림상주11.8℃
  • 흐림춘천10.3℃
  • 구름많음강화10.3℃
  • 구름많음통영15.7℃
  • 흐림정선군9.0℃
  • 흐림밀양13.1℃
  • 구름많음정읍14.4℃
  • 구름많음추풍령11.1℃
  • 구름많음북강릉10.3℃
  • 흐림안동11.0℃
  • 구름많음해남13.4℃
  • 구름많음광양시14.6℃
  • 구름많음거제14.4℃
  • 흐림원주12.4℃
  • 구름많음진주11.1℃
  • 흐림남원11.6℃
  • 흐림의령군11.1℃
  • 구름많음김해시13.9℃
  • 박무울산13.4℃
  • 구름많음수원12.0℃
  • 구름많음여수16.6℃
  • 구름많음남해14.7℃
  • 구름많음동해11.2℃
  • 흐림문경12.3℃
  • 구름많음양평12.3℃
  • 흐림제천10.5℃
  • 구름많음순천10.0℃
  • 구름많음고창군13.5℃
  • 흐림천안11.5℃
  • 흐림금산10.6℃
  • 흐림강진군13.8℃
  • 흐림영월9.5℃
  • 구름많음함양군11.1℃
  • 흐림목포15.3℃
  • 흐림의성11.5℃
  • 흐림경주시12.8℃
  • 흐림북춘천10.2℃
  • 구름많음광주14.5℃
  • 구름많음양산시14.6℃
  • 구름많음흑산도14.4℃
  • 흐림군산12.5℃
  • 흐림임실12.1℃
  • 구름많음합천13.0℃
  • 흐림장흥13.6℃
  • 흐림북창원14.2℃
  • 흐림영주12.6℃
  • 구름많음서산11.4℃
  • 흐림충주11.8℃
  • 흐림대전12.7℃
  • 구름많음울진12.3℃
  • 구름많음이천12.6℃
  • 흐림부여12.3℃
  • 구름많음파주9.3℃
  • 흐림서청주11.5℃
  • 흐림대관령5.3℃
  • 구름조금서귀포16.8℃
  • 구름많음제주19.1℃
  • 구름많음장수9.5℃
  • 흐림홍천10.7℃
  • 구름많음보은10.5℃
  • 구름많음고산18.5℃
  • 구름많음창원15.0℃
  • 흐림부산16.2℃
  • 흐림인제9.3℃
  • 흐림봉화10.5℃
  • 구름조금백령도13.7℃
  • 구름많음진도군15.8℃
  • 흐림영덕12.0℃
  • 흐림서울12.8℃
  • 구름많음강릉10.8℃
  • 흐림청주13.8℃
  • 흐림영천11.6℃
  • 흐림순창군12.1℃
  • 흐림전주13.9℃
  • 구름많음완도14.9℃

[메가피셋] 7급 PSAT 인사이트 “PSAT 진단과 맞춤전략Ⅱ-자료해석”

전정민 / 기사승인 : 2020-06-15 10:35:00
  • -
  • +
  • 인쇄

 안녕하세요, '7급 PSAT에 최적화되다!’ 메가피셋입니다. 오늘은 ‘PSAT 진단과 맞춤전략’ 두 번 째 회차인 자료해석 편인데요, 메가피셋 대표강사 김승환 교수님께서 수험생 분들을 위해 직접 한 땀 한 땀 그래픽 작업까지 하시며 “하면 오르는 자료해석” 공부법을 소개해주셨습니다. 


김승환.png
▲ 메가피셋 김승환
 

 

1) 자료해석 반드시 정확하게 계산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여러분, 김승환입니다. PSAT 자료해석 공부를 시작할 때 많은 수험생 분들이 어려움을 겪는 영역이 바로 ‘계산’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그동안 계산이 어느 정도로 필요한지 시원하게 해답을 주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무조건 계산을 피하려고 하거나’, 반대로 ‘언제나 정확한 계산을 통해 해결’하려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는 자료해석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왜곡된 접근법으로서 수험생활에 있어 쓰디 쓴 시행착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자료해석을 ‘자료를 해석하는 능력과 해석에 필요한 값을 도출·추론 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정의합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계산을 피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와 구조의 해석 기법을 전달 드리면서도 필요한 계산을 가볍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스킬들과 사고 노하우들을 전달드립니다. 이는 그간 수강생분들께 큰 성과가 있었습니다.


다음 실제 기출 문제의 <보기 ㄱ>을 함께 풀어보며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 1. 다음 <표>와 <그림>은 A지역 2016년 주요 버섯의 도․소매가와 주요 버섯 소매가의 전년 동분기 대비 등락액을 나타낸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jpg
 

<보기> ㄱ은 ‘느타리’ 1kg의 도매가가 매분기 ‘팽이’ 3kg의 도매가보다 높은지를 묻고 있습니다. 주어진 <표>는 버섯 종류별 1kg당 도매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선지의 정오를 판단하기 위해 <표>에 주어진 ‘팽이 도매가의 3배’를 계산하여 ‘느타리 도매가’와 비교하는 판단을 ‘1분기∼4분기’까지 4번 해야 합니다.


즉, 1분기의 경우 ‘느타리 도매가(5,779)’가 ‘팽이 도매가(1,886)×3’보다 더 큰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2분기는 ‘6,752>1,727×3’인지, 3분기는 ‘7,505>1,798×3’인지, 4분기는 ‘7,088>2,116×3’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물론 이 계산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면 그것은 몹시 괴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때 제가 전달 드리는 저의 사고 기술(Skill)인 ‘크게 보기’ 기법이 간편하고 빠른 판단을 위해 큰 도움이 됩니다. ‘크게 보기’란 계산에 활용되는 숫자를 조금 크게 보아 계산하기 간편한 숫자를 활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계산을 처리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1분기부터 ‘크게 보기’를 활용하여 함께 해결 해보도록 합시다.


2.jpg
 

‘5,779>1,886×3’을 확인할 때 1,886의 3배에서 계산하기 까다로운 1,886을 1,900으로 크게 보아 3배를 생각하면 5,700이 됩니다. 이는 팽이의 도매가의 3배를 크게 보아 5,700으로 보더라도 느타리의 도매가(5,779)가 더 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크게 보기 전의 팽이 도매가 1,886의 3배 보다 5,779가 클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2분기 ‘6,752(느타리)>1,727(팽이)×3’의 우변은 1,727을 1,800으로 크게 보아도 5,400이 되어 느타리가 더 크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고, 3분기는 ‘7,505(느타리)>1,798(팽이)×3’의 우변은 1,798을 2,000으로 크게 보더라도 6,000이 되어 느타리가 더 크다는 것을 쉽게 확인 가능하며, 4분기 역시 ‘7,088(느타리)>2,116(팽이)×3’은 2,116을 2,200으로 크게 보아도 6,600이 되어 느타리가 더 큼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분기가 느타리가 더 크기 때문에 옳은 선지가 됩니다.


만약 이 문제를 해결하며 3배를 일일이 정확하게 계산하려 했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체력을 낭비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반대로 ‘크게 보기’ 기술이 훈련되어 있었다면 ㄱ선지를 맞다고 판단하는 순간 선지 ③,④,⑤가 한꺼번에 소거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선지 하나만 보고 간단하게 정답 도출이 가능했던 문제였습니다. 자료해석은 이처럼 빠르고 효율적인 계산 노하우들을 학습하교 훈련함으로써 언제나 정확한 계산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계산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문제 풀이 속도를 높여갈 수 있습니다.


2) 그렇다면 계산이 필요한 문제와 그렇지 않은 문제를 구별하는 방법은?


앞선 예제처럼 PSAT 자료해석에서 계산의 효율적 처리 능력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전에서는 계산을 해야 할 때와 계산 없이 해석 처리 할 때를 순간순간 구분할 수 있는 힘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저의 신념입니다. 다음 실제 기출 문제에서 <보기> ㄱ을 우선 해결해 보시길 바랍니다.


문 2. 다음 <표>는 2014~2018년 ‘갑’국의 전력단가와 에너지원별 평균정산단가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3.jpg
 4.jpg
 

각주를 통해 여름과 가을이 속한 달을 알 수 있고 이를 헷갈리지 않도록 <표>에 표시해두도록 합시다. 그러면 여름은 6월∼8월, 가을은 9월∼12월이 되겠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의 전력단가 평균을 비교하는 선지입니다.


[개념을 활용한 계산 줄이기] 이때 이를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각 기간에 속한 3개 전력단가를 모두 더해서 3으로 나누어 계산해야 하지만, 여름과 가을 모두 항목의 개수가 3개(3개월)로 동일하므로 평균비교는 3개 항목의 ‘합계 비교’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계산은 효율적으로] 2014년부터 비교하면 가을(9∼11월)의 전력단가 합계(131+132+133)는 약 (130×3)+1+2+3=396 이고, 여름(6∼8월)의 3개월 전력단가 합계를 쉽표 앞자리만 구하면 약 406입니다. 그러므로 2014년은 여름의 합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분포를 활용한 계산 줄이기] 2014년은 이처럼 효율적으로 계산한 반면, 2015년의 경우 계산 없이 간편하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6월(84)보다는 9월(90)이, 7월(81)보다는 10월(98)이, 8월(88)보다는 11월(94)이 더 값이 크기 때문에, ‘6월+7월+8월의 합(여름)’보다 ‘9월+10월+11월의 합(가을)’이 더 크다는 것을 수의 분포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제나 여름의 평균값이 높다는 선지의 진술을 옳지 않은 진술이 됩니다.


5.jpg
 

이처럼 실전에서 순간순간 불필요한 계산은 줄이고 필요한 계산은 막힘없이 해결 갈 수 있다면 어려운 문제에서도 끊임없이 앞서갈 수 있게 될 것이고 반드시 성공하게 되어 있습니다. 만약 이 선지를 자신 있게 해결하지 못하고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망설여지거나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렸다면 제 수업에 빠짐없이 담겨있는 실전 사고 기법들과 노하우들을 학습하시길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평소 계산과 관련된 고민들을 가벼이 여기지 마시고 속 시원하게 해결해 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