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기업, 연공서열에서 성과 중심으로…직장인들 승진 관심 높아져

이선용 / 기사작성 : 2022-03-12 12:50:00

성과주의 확산.jpg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능력을 중심으로 한 성과주의가 직장 내 빠르게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는 직장인들의 인사평가와 승진에 대한 태도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 보수적인 연공서열 중심의 인사제도가 아닌 개인의 역량과 성과 중심으로 조직문화가 변화하면서 동기부여가 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666명을 대상으로 ‘승진에 대한 생각’을 설문조사 한 결과, 현 직장에서 ‘인사고과 및 승진에 관심이 많다’고 응답한 비율이 6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설문조사에서 ‘승진에 관심 있다’(53.2%)는 의견이 절반을 겨우 넘긴 것에 비하면 상당히 높아진 비율이다.

 

인사고과와 승진에 대한 관심은 MZ세대를 중심으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40대(65.7%), 50대(63.3%)에 비해는 낮지만, 20대(58.5%)와 30대(57.3%)도 절반이 훌쩍 넘게 승진과 인사평가에 집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들은 최근 승진에 관심이 많아진 이유로 ‘승진에 따른 연봉상승이 커서’(57.8%, 복수응답)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연공서열 관계없이 능력과 성과 중심으로 인사제도 개편 31.6% △최근 상대적으로 젊은 인력이 승진하고 있어서 20.9% △일괄적 평가 아닌 성과대로 별도 승진 세션이 있어서 8.5% △직급별 체류기간이 폐지돼서 5.7% 등의 순이었다.

 

다만, 인사제도에 대한 불만은 54.3%로 적지 않았다. 불만을 가진 이유로는 ‘평가가 상급자 임의대로 이뤄져서’라는 응답이 42%(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공개 원칙 없음’(37.5%), ‘상사와 충분한 의견 교환이 안됨’(31.2%), ‘결과나 능력 관계없이 철저하게 연공서열 중심이라서’(29.4%), ‘승진 대상자를 이해할 수 없어서’(26.4%) 등이 있었다.

 

한편, 직급폐지, 호칭 변화 등으로 조직문화에 변화를 주고 있지만, 그에 따른 평가나 보상제도는 아직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직장의 인사평가 방식으로는 ‘상사에 의한 수직평가’(36.2%)가 가장 많았고, ‘특별한 인사평가 제도를 두지 않음’(26.7%), ‘상사, 동료, 부하 등에 의한 다면평가’(16.5%), ‘직급 관계없이 성과에 따른 목표관리 평가’(15.3%) 등이 뒤를 이었다.

 

역량에 대한 공정한 평가에는 관심이 있으나, 예전처럼 회사에서의 승진이나 평가가 절대적이라고 생각하는 가치관은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회사에서의 승진이나 평가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고 생각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로 ‘개인 커리어 상승 및 자아실현’(62.8%, 복수응답), ‘개인의 삶(워라밸)’(58.4%), ‘재테크를 위한 기반’(27.5%) 등의 답변이 있었다. 

[저작권자 © 피앤피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https://www.gosiweek.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