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책 읽는 오후, 죽이는 한마디] 그리스인 조르바 -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맑음부안15.4℃
  • 구름조금부산18.8℃
  • 구름조금남해17.4℃
  • 구름조금광양시19.3℃
  • 구름조금제주22.4℃
  • 맑음영천15.1℃
  • 흐림정선군13.0℃
  • 맑음의령군13.6℃
  • 구름조금안동13.4℃
  • 맑음세종15.5℃
  • 맑음상주15.0℃
  • 맑음진주13.8℃
  • 구름조금울릉도17.8℃
  • 흐림태백12.7℃
  • 구름많음장흥18.5℃
  • 흐림동해16.4℃
  • 맑음합천15.9℃
  • 구름많음고흥18.4℃
  • 맑음함양군16.4℃
  • 구름조금강화14.6℃
  • 맑음동두천12.4℃
  • 맑음영덕15.6℃
  • 맑음인천17.2℃
  • 구름조금통영18.6℃
  • 구름많음울산18.3℃
  • 흐림목포19.1℃
  • 맑음인제13.9℃
  • 구름많음추풍령14.8℃
  • 맑음서청주15.0℃
  • 구름조금대구16.1℃
  • 구름많음강진군19.2℃
  • 흐림흑산도20.0℃
  • 구름조금순천13.2℃
  • 맑음홍천12.3℃
  • 맑음서울15.6℃
  • 구름많음영광군16.3℃
  • 맑음서산16.7℃
  • 구름많음문경14.7℃
  • 맑음대전15.7℃
  • 맑음밀양15.8℃
  • 맑음경주시15.5℃
  • 흐림봉화13.1℃
  • 맑음북춘천11.6℃
  • 흐림울진16.3℃
  • 흐림속초17.4℃
  • 구름많음청송군14.8℃
  • 흐림서귀포23.3℃
  • 맑음순창군14.5℃
  • 흐림성산24.0℃
  • 맑음김해시17.7℃
  • 맑음포항18.5℃
  • 맑음청주16.7℃
  • 맑음이천13.0℃
  • 구름많음해남19.5℃
  • 흐림영주14.3℃
  • 맑음산청15.7℃
  • 맑음전주15.3℃
  • 구름많음완도19.3℃
  • 흐림대관령11.6℃
  • 맑음임실13.7℃
  • 구름조금여수19.7℃
  • 흐림제천12.0℃
  • 구름조금북부산19.2℃
  • 맑음양평13.8℃
  • 구름많음고산22.2℃
  • 맑음구미15.7℃
  • 흐림파주13.7℃
  • 흐림진도군18.3℃
  • 구름많음보성군16.5℃
  • 맑음부여16.2℃
  • 맑음춘천13.1℃
  • 맑음금산13.6℃
  • 맑음백령도17.2℃
  • 흐림강릉16.6℃
  • 맑음원주12.8℃
  • 비북강릉15.8℃
  • 맑음의성13.6℃
  • 맑음북창원17.5℃
  • 맑음양산시19.9℃
  • 맑음천안14.4℃
  • 맑음정읍15.4℃
  • 흐림영월11.4℃
  • 구름조금거제18.9℃
  • 구름조금보령16.1℃
  • 맑음수원15.4℃
  • 구름조금고창군17.5℃
  • 구름조금홍성16.5℃
  • 맑음철원11.8℃
  • 맑음보은14.2℃
  • 맑음남원15.4℃
  • 구름많음창원17.1℃
  • 맑음군산17.0℃
  • 구름많음고창17.6℃
  • 구름많음거창16.1℃
  • 구름많음충주14.3℃
  • 구름조금광주17.4℃
  • 맑음장수12.5℃

[책 읽는 오후, 죽이는 한마디] 그리스인 조르바 -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기사승인 : 2015-06-09 14:44:00
  • -
  • +
  • 인쇄

150609_109_18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묘비명이다.  나의 무덤에도 같은 비문이 쓰이길 원한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고 싶은 이들은 많다. 이것을 실천하는 것은 어렵다. 어렵지만 세상에 어느 누구는 ‘조르바’처럼 세상의 굴레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간다.


그리스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대표작 <그리스인 조르바>는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조르바’와 지식인인 ‘나’를 화자로 세워 두었다. 크레타섬으로 떠나는 카페 안에서 키가 훤칠하게 크고 깡마르지만 냉소적이면서 강렬한 눈매를 가진 60대 노인 ‘조르바’가 다가오면서 둘의 여정이 시작된다.


‘나’는 내 안의 욕망이나 감정보단 이성으로 판단하고 책을 통해서 세상을 바라보고 그것이 옳다고 믿는다. '나'에게는 사랑도 그러하다. 욕망을 억제하고 두려워한다.


‘조르바’는 도자기를 구울 때 돌림판을 돌리는데 거치적거려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버리는 인물이다. 물론 아프지만 그렇게 사랑하는 일..도끼로 끊어내고 고통을 사랑하는 일을 서슴치 않고 행한다. 그는 춤추고 싶으면 춤추고 노래하고 싶으면 노래하는 방랑자이다.
 
<그리스인 조르바>의 시작은 너무 다른 이들이 만나 잦은 충돌이 일어난다. 그러나  함께 할수록 ‘조르바’의 상식 밖의 언행들이 정열 가지고 현재를 즐기는 것임을 알게 된 ‘나’는 그의 모습에 매료되어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된다.


그는 결혼이라는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영혼이지만 크레타섬에서 ‘부불리나’와 결혼을 하게 된다. 그러나 그녀는 곧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지만 ‘조르바’는 너무 태연하다.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 속에서도 태연한 그가 이해되지 않는다. 하지만 ‘조르바’에게 사랑 또한 정열을 가지고 매 순간 그녀를 사랑했고 과거와 미래보단 현재에 충실했기에 후회나 미련이 없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결국 둘의 탄광 산업은 실패로 돌아가 빈털터리가 된다. 나라면 사랑하는 사람도 잃고 사업도 망했다면 절망에 빠져서 헤어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언제부터인가 ‘조르바’처럼 변한 자신을 발견한다. 내 안의 또 다른 자아의 모습을 발견하는 순간이다.

나약한 지식인의 모습에서 속 시원하게 행동하고 현재를 즐기는 ‘조르바’와 같은 모습이다. 빈털터리가 된 자신에게 오히려 해방감을 느끼며 ‘조르바’와 함께 춤추고 노래한다.


<그리스인 조르바> 의 화자인 ‘나’는 작가 자신이다. 작가는 비로소 자유를 느끼게 된 것이 아닐까란 생각을 했다. 내 안에도 현실과 타협한 현재의 자아와 ‘조르바’와 같은 삶을 원하는 자아가 존재한다. 나는 조르바와 같은 삶을 원한다. 머리가 아닌 온몸으로 부딪히는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 조르바처럼 춤추고 싶으면 춤추고 노래하고 싶으면 노래하고 싶다. 그러나 조르바의 삶이 옳지 않다고 하는 이들도 있다. 남의 시선을 느끼는 나는 세상의 굴레의 얽매여 있는 자아로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는 증거이다. 나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해 본다. 


나는 현재를 즐기며 살고 있는가?
지금 행복한가?
내가 원하는 삶인가?
현실과 타협한 현재의 자아가 만족스러운가?


생각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누구나 꿈꿀 수 있다. 꿈이란 실현가능여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꿈의 가치는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꿈과 희망은 차이가 있다. 희망은 가능성이란 것이 내포되어 있다. 가능성을 점점 높게 만들도록 노력하는 것이 내가 자유로워지는 첫 걸음이라고 생각한다. 조르바처럼 살 든 ‘나’처럼 살든 선택은 내 몫이다. 후회도 마찬가지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행복한가?’의 대한 나의 대답이다. 매 순간 희망을 품고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고자 노력한다면 나도 춤추며 노래할 수 있는 그 날이 올 거라 믿는다.


-은향-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