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말 기준, 도내 어린이집 8,903개 중 8,519곳 의료인력 없어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기도는 6월부터 어린이 환자가 발생했을 때 보다 신속한 진찰과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어린이집과 지역 의료기관을 협력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도는 4일 이같은 내용의 ‘어린이집 안심병원 지정 사업’을 실시하기로 하고, 시군 어린이집 연합회 또는 개별 어린이집에 지역 의료기관을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제7회 경기도 인구톡톡위원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시행하는 것으로, 지금까지는 100명 이상의 원아들이 있는 어린이집에만 간호사(간호조무사)를 배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어,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어린이집의 경우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2023년 말 기준으로 경기도 내 어린이집 8,903개 가운데 8,519곳에는 의료인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어린이집은 6월부터 접근성과 부모 의견을 반영한 지역 의료기관과 협약을 체결하면 되며, 이후 지정된 안심병원과 협력해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다.
김미성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경기도의 모든 어린이집이 이번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안전한 보육환경을 함께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어린이집 안심병원 지정 사업’을 통해 경기도는 영유아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부모들이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