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최근 급증하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검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는 이 수법은 특히 20~30대 청년층을 노리고 있으며, 피해 규모가 급증하는 양상이다.
경찰에 따르면 올해 1~8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6,753억 원으로 전체 피해액(8,856억 원)의 76%를 차지했다. 1건당 평균 피해액은 7,438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3% 늘었다. 청년층 피해 비율은 절반을 넘어섰고, 1억 원 이상 고액 피해자 중 20~30대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17%에서 올 5~7월 34%까지 치솟았다.
![]() |
▲경찰청 제공 |
범죄조직은 피해자를 고립·통제하는 전략으로 심리를 장악한다. 먼저 웹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해 피해자 이름이 적힌 가짜 구속영장이나 인출명세서를 보여주고, 수사기관 연루 착각을 유도한다. 이어 “보안을 위해 필요하다”며 텔레그램·시그널 같은 해외 메신저로 대화하도록 지시, 매시간 활동 보고를 강요한다.
또 “보안용 휴대전화”라며 구형 단말기를 개통하게 하고 악성앱을 설치, 전화번호 조작·위치 추적까지 가능하게 만든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숙박업소에 머물며 외부와 단절되는 이른바 ‘셀프감금’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최근엔 자영업자를 상대로 국세청을 사칭해 세금 미납을 추궁하거나, 해외 교포·유학생에게 대사관을 사칭해 마약 사건 연루를 속이는 등 맞춤형 수법도 등장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웹사이트 입력 후 범죄정보·수사서류 열람 지시 ▲텔레그램·시그널 등 특정 메신저 강요 ▲별도 휴대전화 개통 지시는 절대 실제 기관에서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산 검증이나 가상자산 환전 후 이체 요청은 100% 보이스피싱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경찰청은 숙박업소, 금은방 등 범행 주요 장소에 맞춤형 홍보물을 배포하고, 금융·통신 업계 현장 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은 피해자가 뒤늦게 피해 사실을 인지해 손실이 크다”며 “국민들도 최신 수법을 숙지해 스스로를 지켜달라”고 말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