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자는 노량진을 불효자의 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무원시험의 메카인 노량진은 희망과 좌절이 함께 공존하는 곳이다.
공무원시험에 당당히 출사표를 던지던 수험 초창기에는 合格이라는 꿈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희망 속에서 살아간다.
하지만 공무원시험을 통해 공직에 입성할 수 있는 인원은 지원자의 2%(2013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응시자 대비 합격인원) 내외이다. 즉 98%는 실패라는 쓴잔을 마시게 된다.
공무원시험에 한해 두해 탈락하게 되면, 처음 시작했을 때의 굳은 마음은 온대간대 사라지고 갖은 잡념과 불안감만이 머릿속을 가득 메운다.
이에 본지에서는 공직 입문을 위해 노량진에서 고군분투하는 수험생들의 잘못된 학습 방향과 마음가짐을 바로잡아주기 위해 “불효자의 길 노량진 탈출프로젝트”라는 특집을 마련하였다.
■나 자신을 먼저 알자!
보통 공무원시험에 처음 입문한 수험생들의 경우 주변 수험생의 말이나 카페 등에서의 정보를 근간으로 수험계획을 세우게 된다.
즉 본인의 실력 여부와 상관없이 “남들이 이렇게 하니까, 나도 해야지”라는 마음가짐으로 시험 준비에 뛰어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공무원시험 준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일이다. 아무리 좋은 책과 강의로 공부를 한다고 하더라도, 본인의 눈높이에 맞지 않으면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법이다.
오히려 좌절감만을 맛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본인의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더함이나 뺌 없이 냉정하게 판단하는 일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본인의 현 위치를 제대로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수험전문가들과의 상담을 통해 이에 맞는 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실적인 수험계획 세우기
본인의 현 위치를 제대로 파악했다면 이제 수험생들에게 남은 것은 그에 맞는 수험계획을 세우고 실천에 옮겨야 한다.
다만 수험계획을 세울 때에는 가능한 현실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의욕에 맞서 지나치게 많은 분량의 계획을 세워놓게 되면, 하루하루가 부담이 되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하여 슬럼프가 찾아 올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시험은 학창 시절 치렀던 중간고사나 기말고사가 아닌 1년 이상의 장기레이스라는 점을 잊지 말고 지나침과 부족함 없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학습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선용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