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자는 노량진을 불효자의 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무원시험의 메카인 노량진은 희망과 좌절이 함께 공존하는 곳이다.
공무원시험에 당당히 출사표를 던지던 수험 초창기에는 合格이라는 꿈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희망 속에서 살아간다.
하지만 공무원시험을 통해 공직에 입성할 수 있는 인원은 지원자의 2%(2013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응시자 대비 합격인원) 내외이다. 즉 98%는 실패라는 쓴잔을 마시게 된다.
공무원시험에 한해 두해 탈락하게 되면, 처음 시작했을 때의 굳은 마음은 온대간대 사라지고 갖은 잡념과 불안감만이 머릿속을 가득 메운다.
이에 본지에서는 공직 입문을 위해 노량진에서 고군분투하는 수험생들의 잘못된 학습 방향과 마음가짐 그리고 각종 환경적인 요인 등을 바로잡아주기 위해 “불효자의 길 노량진 탈출프로젝트”라는 특집을 마련하였다.
■한정된 시간, 1분1초를 소중하게
수험준비 기간이 한 해 두 해 지나게 된다면, 수험생들 역시 경제적 어려움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교재비와 학원비를 비롯하여 수험준비에 필요한 부대비용이 발생한다.
물론 상당수의 수험생들이 부모님께 생활비를 받아가며 공부하고 있지만, 이 또한 어디까지나 한시적일 수밖에 없다.
수험준비기간이 길어지거나 불황으로 인하여 가세가 급격히 기울어지게 된다면 수험생들은 경제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물론 부모님의 지원이 있을 때 합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이지만, 높은 경쟁률과 합격선을 감안했을 때 이 또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 일과 수험생활을 병행하는 직장인 수험생들 또한 최근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즉 생계형 수험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그럼 이들이 성공적인 수험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뒤따라야 하는 지 의문이 생긴다.
이들 생계형 수험생들이 합격이라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할애된 시간을 정말로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일로 인해 남들보다 주어진 시간이 짧은 만큼 최대한 집중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자투리 시간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또 꾸준함을 유지하는 것은 기본이다. 매일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하루도 빠짐없이 학습에 매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아울러 욕심을 버려야 한다.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일반 수험생들에 비하여 적은 만큼 본인의 현 위치를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빨리 합격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기본서 공부를 소홀히 하고, 요약집이나 문제집만을 학습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절실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경제적·육체적·금전적으로 어려움에 처해있지만 반드시 합격할 수 있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수험준비를 한다면 어느새 손 안에는 합격증이 있을 것이다.
이선용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