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 9급, 장애인 선발인원 2010년 97명→2015년 198명
지원자는 제자리걸음, 장애인 고용률 2008년 이후 3%로 상향
“소망했던 공직에 진출하게 된 만큼,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을 위해 봉사하는 공무원이 되고 싶다”, 이는 올해 인사혁신처가 실시한 중증장애인 특채에 최종 합격한 정승옥 씨(미래창조과학부·33세·지체 1급)가 밝힌 포부다.
최근 공무원을 꿈꾸는 장애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맞물려 정부도 채용 비율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애인 수험생들을 위한 편의제공(시간연장, 확대문제지 제공 등)을 마련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지난 2008년 2%에서 3%로 상향 조정됐다. 그 결과 2008년 2.35%에 불과하던 중앙행정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은 2014년 3.26%로 상승하였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을 기준으로 했을 때 2005년 1,647명에 불과했던 장애인 공무원은 2014년 4,832명으로 10년새 293%가 증원되었다. 또한 각 지자체의 장애인 공무원 역시 매년 꾸준히 증원되고 있었다(지자체 장애인 수 2008년 6,553명→2013년 8,496명).
이 같은 사회 분위기는 공무원시험 선발인원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지가 최근 6년간(2010~2015년) 국가직 9급 장애인 구분모집 선발인원을 분석한 결과 2010년 97명에 불과하던 채용규모는 2015년 198명으로 크게 증원됐다. 연도별로는 2010년 97명, 2011년 73명, 2012년 99명, 2013년 139명, 2014년 166명, 2015년 198명 등으로 늘어나고 있다. 반면 선발인원 증원에도 불구하고 지원자는 등락을 반복하며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었다. 연도별로는 ▲2010년 3,470명 ▲2011년 3,372명 ▲2012년 3,181명 ▲2013년 3,746명 ▲2014년 3,276명 ▲2015년 3,008명이다. 이는 장애인들이 공무원시험을 준비함에 있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