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칼럼] Non sibi(자신만을 위하지 않는)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이타적 존재를 위하여 - 김정겸 한국외대 교수

  • 구름많음북춘천24.5℃
  • 흐림보은19.6℃
  • 비서귀포26.6℃
  • 흐림고창군21.3℃
  • 흐림문경18.4℃
  • 흐림영덕21.1℃
  • 맑음백령도24.4℃
  • 흐림임실20.2℃
  • 흐림구미20.1℃
  • 흐림부산23.4℃
  • 흐림청송군19.6℃
  • 흐림장흥21.5℃
  • 흐림산청19.1℃
  • 흐림순천20.1℃
  • 흐림북창원21.1℃
  • 구름많음서울25.9℃
  • 구름많음서청주21.8℃
  • 흐림군산21.9℃
  • 흐림정선군20.8℃
  • 흐림장수18.6℃
  • 구름많음인천26.0℃
  • 흐림합천20.2℃
  • 흐림고흥21.0℃
  • 흐림영천20.1℃
  • 흐림제천22.2℃
  • 비대구20.5℃
  • 구름조금춘천24.7℃
  • 흐림상주18.7℃
  • 비광주20.0℃
  • 구름많음양평25.0℃
  • 비창원21.2℃
  • 흐림대관령18.7℃
  • 흐림고창21.9℃
  • 흐림강진군21.5℃
  • 흐림홍성24.0℃
  • 흐림완도21.4℃
  • 흐림이천24.5℃
  • 흐림진주19.7℃
  • 흐림울진22.9℃
  • 흐림남원19.2℃
  • 흐림동해24.9℃
  • 흐림충주23.3℃
  • 구름많음인제21.4℃
  • 구름많음동두천24.2℃
  • 흐림천안22.6℃
  • 흐림성산25.4℃
  • 흐림속초23.6℃
  • 비여수20.4℃
  • 흐림목포21.2℃
  • 비포항21.9℃
  • 흐림원주24.5℃
  • 흐림보성군21.2℃
  • 흐림태백19.2℃
  • 흐림추풍령18.2℃
  • 흐림강릉25.8℃
  • 흐림거창19.1℃
  • 흐림양산시22.0℃
  • 흐림제주24.9℃
  • 흐림부안21.4℃
  • 흐림통영22.0℃
  • 흐림금산20.5℃
  • 흐림흑산도22.8℃
  • 비울산20.4℃
  • 구름많음파주24.0℃
  • 흐림영광군22.0℃
  • 구름많음보령23.2℃
  • 흐림봉화20.0℃
  • 흐림영월23.1℃
  • 구름많음울릉도23.7℃
  • 흐림의령군19.2℃
  • 구름많음강화23.3℃
  • 흐림전주21.5℃
  • 구름많음청주23.6℃
  • 흐림북강릉23.6℃
  • 흐림진도군21.2℃
  • 흐림김해시21.5℃
  • 흐림경주시20.7℃
  • 흐림세종21.2℃
  • 구름많음수원24.9℃
  • 흐림광양시20.0℃
  • 비안동19.3℃
  • 흐림정읍21.5℃
  • 구름많음서산24.7℃
  • 구름많음철원23.4℃
  • 비북부산22.8℃
  • 흐림의성20.0℃
  • 흐림영주19.9℃
  • 흐림거제22.5℃
  • 흐림부여21.7℃
  • 흐림대전20.8℃
  • 흐림순창군19.9℃
  • 흐림해남21.7℃
  • 흐림함양군19.2℃
  • 구름많음홍천24.8℃
  • 흐림남해19.9℃
  • 흐림밀양20.9℃
  • 흐림고산24.8℃

[칼럼] Non sibi(자신만을 위하지 않는)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이타적 존재를 위하여 - 김정겸 한국외대 교수

/ 기사승인 : 2015-06-23 15:21:34
  • -
  • +
  • 인쇄

noname01병든 사회에서의 탈출구 :인문. 자유교육

‘사람임’에서 ‘사람됨’이 필요한 시대이다. 실제적 지식만을 강요하는 시대에서는 나와 관련된 그 모든 것을 수단으로 여기게 된다. 실용적 지식을 수단으로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을 갖는 것이 보편적 가치가 되었다. 이 시대가 지향하는 보편적 가치가 입신양명과 출세라면  병든 사회임이 분명하다. 병든 사회가 분명한 것은 매일 힐링(healing)만을 외치고 있기 때문이다. 힐링(healing)은 마약이 만연한 사회에서 나오는 말이다. 왜냐하면 마약은 완치가 없기 때문이다. 즉 계속(ing) 치료(heal)해야 하는 사회라는 것이다. 힐링(healing)을 필요로 하는 사회는 치료가 끝나지 않은 병든 사회 사회이다.

Herbert Spencer는 “교육의 목적은 인격형성을 위한 것” 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인격(人格)이란 “사람 됨됨이”를 의미한다. 맹자의 “사람 마음 틀린 것을 바로 잡는다.[격군심지비(格君心之非: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20]”라는 말에서 보다시피 사람(人)을 바로 잡는 것(格)을 인격으로 본다. Kant는 정언명법에 따른 실천명령을 “네가 너 자신의 인격에서나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에서 인간을 항상 목적으로 대하고 수단으로 대하지 않도록 행위 하라”고 정의하였다.

인간은 수단이 아닌 목적 그 자체 이어야 한다. 너와 내가 서로 자신의 출세를 위한 수단이 된다면 인격적인 만남이 이루어 질수 없다. 모든 인간관계가 서로의 욕심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면 진정한 대화를 나눌 수 없게 된다. M. Buber는 이런 관계를 “나-그것”의 만남으로 규정한다.

“나-그것”의 만남을 중시하는 사회는 인격적인 만남을 강조하기 보다는 실용적이고 실제적인 것만을 추구하는 병든 사회이다. 이런 사회는 서로를 이용하고 자기중심적인 사회이기 때문에 상대방에 대한 배려(caring)는 없다. “병든 사회”,“인간을 수단으로 보는 사회”, “나-그것의 사회”를 극복하여 참된 “인간됨”의 사회로 회귀할 수 있는 방법은 인문학적 소양을 통해서 가능 하다. 문학, 역사, 철학의 자유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은 합리적인 이성 계발을 통해 참 인간됨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버드대 덱스터 게이트(Dexter Gate)의 명문: 'Enter to Grow in Wisdom( 들어 와서는 지혜를 배워라)' 'Depart to Serve better Thy Country and Thy Kind(떠난 후 더 나은 그대들의 세상과 인류를 위해 봉사하라)'

감정이 조절되지 않는 사회, 갑 질이 만연하는 사회는 나를 다스릴 격(格)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다. 명성이 높다고 인격이 높은 것은 아니다. 인격이 없이 명성만 높은 사람은 갑(甲)질을 한다. 명성(名聲)이란 소리(聲)나게 이름(名)을 부르는 것이기 때문에 불러주지 않으면 그 명성은 사라지는 것이다. 명성은 쉽게 무너질 수 있다. “겸손하고 양보하는 마음은 인격을 완성하는데 있어 절대 필요한 양식이다. 이러한 인격완성의 양식이 떨어지면 사람들은 교만해 진다(John  Ruskin). 인격은 인성을 형성하게 해준다.

인성(人性)이란 ‘마음의 바탕이나 사람의 됨됨이의 성품’을 말한다. 공자는 인(仁)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己所不欲勿施於人(기소불욕 물시어인: 내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베풀지 마라)의 배려(caring)를 제시하였다. 배려는 ”사람됨“이라는 인품을 갖도록 하는 척도이다. 인품을 계량화하는 도덕, 윤리시험으로 좋은 대학을 갈 수는 있지만 시험으로 계량화된 인품의 교육은 따듯함이 없다. 계량화된 ‘인격’이 좋은 점수를 얻는 ‘기능’을 하는 이런 사회는 병든 사회이다. 병든 사회의 치료는 인격과 인성을 중시하는 인문학적 소양으로 가능하다. 인문학은 지식(知)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지혜(智慧)를 갖게 해준다. 박사라 하더라도 지혜롭지 못하면 불행해진다. 지혜를 통해 나의 내면의 세계를 좀더 풍요롭게 해야 한다는 것이  하버드대 덱스터 게이트(Dexter Gate)의 명문의 의미일 것이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