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꽁꽁 얼어붙은 채용시장에 대한민국 청춘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가 고용여건 악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공공부문, 특히 공무원 채용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2017년 고용여건 및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추진방향’을 의결했다.
정부는 20조원의 경기 보강, 1분기 역대 최고 수준의 조기 집행(31%)으로 경기 위축 흐름을 조기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올해 공공부문은 조기채용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우선 4만2000명(국가·지방직 공무원 2만 6000명, 경찰·해경 4000명, 교원 1만 2000명)을 선발할 예정인 공무원의 경우 1분기 1만 2000명, 2분기 7000명 등 상반기에만 1만 9000명을 충원한다. 이는 연간계획의 46%에 해당하는 인원이다. 또 2만명을 선발할 예정인 공공기관은 1분기 5000명, 2분기 6000명 등 상반기에 연간계획의 55.9%에 해당하는 1만 1000명을 뽑는다.
아울러 정부는 청년일자리 보완대책도 그간의 일자리대책 성과를 종합평가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 채용연계 강화, 일자리 나누기 등 보완대책을 3월에 마련·발표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유일호 부총리는 “일자리가 민생이라는 자세로 일자리 중심의 국정운영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모든 부처가 일자리 주무부처라는 각오로 분야별 일자리 대책을 적극으로 발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정자치부 지방인사제도과에서는 현재 올해 지방공무원 채용 수요를 조사하고 있는 중이다. 지방공무원 채용과 관련하여 지방인사제도과의 한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자치단체별, 채용분야별로 선발인원을 파악하고 있다”며 “그러나 아직 소방직 등의 채용인원이 확정되지 않은 지자체가 많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대규모 채용이 이루어진 만큼 올해는 인원 증원에 대한 가능성이 낮다”며 “지난해 수준이나 그보다 조금 못 미치는 인원을 채용할 것으로 전망 된다”고 말했다.
지방공무원 신규채용 인원은 ▲2011년 7,748명 ▲2012년 10,330명 ▲2013년 12,169명 ▲2014년 14,087명 ▲2015년 17,561명 ▲2016년 20,186명으로 매년 그 수가 증원되고 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