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혁신처(처장 김동극)가 공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도입한 공무원 진문직위가 3년 만에 5배 이상 늘었다는 통계 결과가 발표됐다. 올해 1월 현재 정부 부처의 전문직위는 제도 시행 전(2013년) 804개(3.7%)에서 올해 4,463개(18.7%)로 3,569개 증가하였다. 이 중 정부 정책의 핵심 직급인 4~5급 이상이 절반 이상(2,241개, 50.2%)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직위에 적합한 인재 영입을 위해 도입한 전문관에 선발된 인원은 3,479명(78%)에 이르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 각 부처에서 지정, 운영하고 있는 주요 전문직위로는 ‘노인일자리’(보건복지부), ‘공무원연금’(인사혁신처), ‘건축물 안전관리(국토교통부)’, ‘금융약관심사(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팜맵(농축산식품부)’, ‘유해화학물질’(국민안전처)’ 등 국민의 생활, 안전과 관련한 것이다.
정부는 순환보직 관행을 타파하고, 장기간 근무하며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각 부처의 주요 정책분야 직위를 전문직위군(群)으로 묶어 운영하고 있다. 즉 관련 전문분야를 섭렵하면서 전문능력을 심층·확장 할 수 있도록 동일 분야(전문직위군)내 유사직위 간 이동을 완화 하고, 각 부처 운영실태 점검 및 개선사항 발굴을 통해 제도의 완성도를 높여나가는 등 공직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최재용 인사혁신국장은 “전문직위 제도가 공직사회에 안착하여 공무원의 책임 있는 업무 수행, 정부 역량 강화에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공직 전문성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기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며, “앞으로도 국민눈높이에 맞춘 공직사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실효성 있는 제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공직 내 전문성이 필요한 직위에 적합한 인력을 발굴해 장기간 근무하게 하는 국제전문직위를 지난 1994년 도입한 이후 2001년에는 이를 전문직위 제도로 개편하였다. 그리고 지난 2014년 7월에는 전문직위 확대 지정을 추진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