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육아휴직, 복지수요 급증 등으로 인해 신규충원수요가 늘었던 2016년, 행자부는 지방직 공무원을 역대 최다 규모인 20,186명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이는 2015년(17,561명)대비 2,626명(15%) 증원된 규모로 수험가에서는 “올해가 기회”라는 호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강원도와 전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선발인원이 줄어들면서 수험생들은 ‘풍요 속 빈곤’을 맛보기도 했다.
당시 행자부는 지방직 채용과 관련하여 “신규충원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모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반영하여 채용인원을 늘렸다”고 설명하였다. 더욱이 장애인 구분모집의 경우 법정의무고용비율(3%)을 1.5배 웃도는 4.5%(916명)를 선발하였고, 저소득층 구분모집은 9급 시험을 대상으로 법정의무고용비율(1%)을 4배 웃도는 4.2%(668명)를 선발하는 등 지난해 채용규모가 ‘통’커지면서 2017년 채용규모 역시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선발하기로 했다.
이에 본지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각 지역별 지방직 채용현황(일반행정직 9급 기준)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호는 그 열한 번째 시간으로 경상남도 일반행정직 9급 현황을 알아보기로 한다.
▶2012년대비 지난해 선발인원, 120% ‘증가’
2012년부터 꾸준히 선발인원 증원을 거듭해 온 경상남도 일반행정직 9급의 경우 지난해 선발인원은 2012년대비 120%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2014년 284명을 선발하면서 2013년대비 다소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선발인원은 682명으로 2015년보다 약 41%(198명) 증가하였으며 2012년과 비교했을 때는 무려 120%(372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4년에서 2015년 사이의 선발인원 증가폭은 70.4%로 가장 컸다. 지원자 역시 꾸준한 상승세다. 경남 일반행정 9급 지원자는 지난해 만 명을 돌파했다.
2012년~2016년까지 경남 일반행정직 9급 선발인원 및 지원자(경쟁률)를 살펴보면 △2012년 310명 선발, 7544명 지원(24.3대 1) △2013년 384명 선발, 8248명 지원(21.4대 1) △2014년 284명 선발, 9156명 지원(32.2대 1) △2015년 484명 선발, 9553명 지원(19.7대 1) △2016년 682명 선발, 11106명 지원(16.2대 1)으로 확인됐다.
▶응시 ‘호응도’, 2016년이 가장 좋았다
2013~2016년까지(2012년 응시인원 미발표) 경남 일반행정직 9급 평균 응시율은 69.7%로, 지난해가 응시율 71.1%로 가장 높았다. 작년의 경우 지원자는 111,06명 가운데 7,906명이 실제 시험에 응시했다. 최근 4년간 응시율을 보면 2013년 68.4%, 2014년 68.7%, 2015년 69.9%, 2016년 71.1%를 보였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