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중 일반행정 9급 지원자, 지난해 ‘최다’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육아휴직, 복지수요 급증 등으로 인해 신규충원수요가 늘었던 2016년, 행자부는 지방직 공무원을 역대 최다 규모인 20,186명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이는 2015년(17,561명)대비 2,626명(15%) 증원된 규모로 수험가에서는 “올해가 기회”라는 호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강원도와 전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선발인원이 줄어들면서 수험생들은 ‘풍요 속 빈곤’을 맛보기도 했다.
당시 행자부는 지방직 채용과 관련하여 “신규충원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모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반영하여 채용인원을 늘렸다”고 설명하였다. 더욱이 장애인 구분모집의 경우 법정의무고용비율(3%)을 1.5배 웃도는 4.5%(916명)를 선발하였고, 저소득층 구분모집은 9급 시험을 대상으로 법정의무고용비율(1%)을 4배 웃도는 4.2%(668명)를 선발하는 등 지난해 채용규모가 ‘통’커지면서 2017년 채용규모 역시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선발하기로 했다.
이에 본지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각 지역별 지방직 채용현황(일반행정직 9급 기준)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호는 그 열세 번째 시간으로 경상북도 일반행정직 9급 현황을 알아보기로 한다.
▶선발인원 상승세에 지원자 1만 명선 ‘돌파’
2012년부터 선발인원을 꾸준히 증원해 온 경상북도 일반행정직 9급의 경우, 지난해 선발인원(570명)은 2012년(275명)대비 약 107%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지원자는 2012년 7,497명에서 지난해 10,037명으로 만 명선을 돌파하였다.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해는 2012년도로, 2012년의 경우 27.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2015년은 16.7대 1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 경북 일반행정직 9급 경쟁률은 17.6대 1로 2015년(16.7대 1)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2~2016년까지 경북 일반행정직 9급 선발인원 및 지원자(경쟁률)를 살펴보면 △2012년 275명 선발, 7497명 지원(27.2대 1) △2013년 444명 선발, 8123명 지원(18.2대 1) △2014년 431명 선발, 8726명 지원(20.2대 1) △2015년 515명 선발, 8616명 지원(16.7대 1) △2016년 570명 선발, 10037명 지원(17.6대 1)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평균 응시율 68.2%…2012년 가장 높아
2012~2016년까지 경북 일반행정직 9급 평균 응시율은 68.2%로, 2012년 응시율 71.4%를 기록하면서 가장 높았다. 또 지난해는 지원자 10,037명 가운데 7,050명이 실제 시험에 응시(응시율 70.2%)하여 2012년에 이어 두 번 째로 높은 응시율을 보였다. 반면, 2014년도는 64.9%(지원자 8726명, 응시자 5667명)로 가장 낮았다. 최근 5년간 응시율을 보면 2012년 71.4%, 2013년 68.4%, 2014년 64.9%, 2015년 66.1%, 2016년 70.2%로 확인됐다. 한편, 필기합격률은 2012년 5.5%, 2013년 7.6%, 2014년 7.8%, 2015년 9.5%, 2016년 8.5%였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