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육아휴직, 복지수요 급증 등으로 인해 신규충원수요가 늘었던 2016년, 행자부는 지방직 공무원을 역대 최다 규모인 20,186명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이는 2015년(17,561명)대비 2,626명(15%) 증원된 규모로 수험가에서는 “올해가 기회”라는 호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강원도와 전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선발인원이 줄어들면서 수험생들은 ‘풍요 속 빈곤’을 맛보기도 했다.
당시 행자부는 지방직 채용과 관련하여 “신규충원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모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반영하여 채용인원을 늘렸다”고 설명하였다. 더욱이 장애인 구분모집의 경우 법정의무고용비율(3%)을 1.5배 웃도는 4.5%(916명)를 선발하였고, 저소득층 구분모집은 9급 시험을 대상으로 법정의무고용비율(1%)을 4배 웃도는 4.2%(668명)를 선발하는 등 지난해 채용규모가 ‘통’커지면서 2017년 채용규모 역시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선발하기로 했다.
이에 본지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각 지역별 지방직 채용현황(일반행정직 9급 기준)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호는 그 마지막 시간으로 충청북도 일반행정직 9급 현황을 알아보기로 한다.
▶선발인원 작년부터 ‘반등’...지원자 꾸준히 상승세
충청북도 일반행정직 9급의 경우, 2014년부터 감소한 선발인원은 2016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원되기 시작했다. 2013년 채용규모는 321명으로 이듬해 2014년에는 289명을 모집하면서 32명 줄었다. 그러나 지원자는 5,006명으로 2013년대비 늘었다. 급기야 2015년에는 선발인원이 289명으로 더 축소됐지만, 지원자가 2014년보다 237명 늘어나면서 경쟁률은 더욱 치열해졌다.
2012~2016년까지 충청북도 일반행정직 9급 선발인원 및 지원자(경쟁률)를 살펴보면 △2012년 310명 선발, 4870명 지원(15.7대 1) △2013년 321명 선발, 4968명 지원(15.4대 1) △2014년 289명 선발, 5006명 지원(17.3대 1) △2015년 255명 선발, 5243명 지원(20.5대 1) △2016년 384명 선발, 5860명 지원(15.2대 1)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평균 합격률 6.1%…2015년 ‘최저’
2012~2016년까지 충북 일반행정직 9급 필기시험의 평균 합격률은 6.1%로 특히, 2015년의 경우 4.8%를 기록하면서 가장 낮은 합격률을 보였다. 반면, 2012년은 지원자 4,870명 중 334명이 필기시험에 통과(6.8%)하면서 가장 높은 합격률로 기록됐다. 최근 5년간 필기 합격률을 보면 2012년 6.8%, 2013년 6.5%, 2014년 5.7%, 2015년 4.8%, 2016년 6.5%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