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행정학총론 출제비중↓, 정책평가 유형과 공무원연금제도·예산문제 등 난도 높아
올해 국가직 7급의 경우 영어 과목이 토익 등 검정능력시험으로 대체됨에 따라 6과목 체제 하에서 시험이 치러진다. 따라서 시험시간이 종전 140분(7과목)에서 120분(6과목)으로 20분 단축된다. 영어 과목을 제외한 총 6과목의 성적을 합산하여 필기시험 합격자를 결정해야 하는 금년도의 경우 수험가는 합격선이 상승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즉 그동안 수험생들이 가장 꺼려하는 영어가 자격요건으로 변경됐기 때문에 합격선이 높아질 것이라는 게 수험가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국가직 7급 합격선은 일반행정직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난 5년간 평균 83.07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2년 83.35점, 2013년 81.42점, 2014년 85.28점, 2015년 81.21점, 2016년 84.07점을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지난 5년보다는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수험생들은 보다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해 치러진 국가직 7급 공채 시험의 과목별 출제 경향을 전문가의 조언(총평)을 통해 분석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호는 그 네 번째 시간으로 행정학에 대해 알아봤다.
작년 국가직 7급 행정학은 쉽지도 그렇다고 어렵지도 않은 적정 난이도로 출제됐다는 것이 전문가의 평가다. 이명훈 강사는 “2016년 국가직 7급 행정학은 다행스럽게도 적정한 난이도를 갖춘 질 좋은 문제들로 출제되었다”며 “평소 이해 중심으로 학습한 수험생들이라면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한 시험이었다”고 밝혔다.
또 문제 출제 영역은 행정학총론 1문제, 행정환류론 2문제, 정책학 5문제, 조직론 4문제, 인사행정론 3문제, 재무행정론 3문제, 지방행정론 2문제가 출제되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지난해는 행정학의 전 영역에서 출제되었지만 예년과 달리 행정학총론이 다소 적제 출제된 점이 눈에 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의 난이도 측면에서 보면 대부분 평이한 문제였지만, 정책평가의 유형과 공무원연금제도, 예산문제 등에서 깊이 있는 출제를 보였다”며 “다만 기본서 내용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아니었던 만큼 이해 중심으로 충실히 공부한 수험생들이라면 큼 무리가 없었을 것”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한편, 지난해 국가직 7급 일반행정직 수석 김상윤 씨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행정학, 헌법 등은 기출문제가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다만 김 씨는 기출문제를 풀기 직전 해당 이론을 보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김 씨는 “기출문제를 풀 때 중요한 것은 해당 문제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해당 선지의 내용을 아느냐 모르느냐를 구분하는 것”이라며 “만약 기출문제를 공부하기 바로 직전에 이론 공부를 한다면, 장기기억이 아니라 단기기억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이 해당 선지를 당연하게 아는지 아니면 방금 보아서 아는지 구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