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변호인 리포트] 명예훼손과 모욕 - 천주현 변호사

  • 맑음태백11.6℃
  • 맑음임실19.3℃
  • 구름조금세종17.0℃
  • 맑음구미16.1℃
  • 맑음흑산도16.8℃
  • 맑음합천19.6℃
  • 맑음순창군19.4℃
  • 구름조금금산17.9℃
  • 맑음보성군19.5℃
  • 구름조금청송군17.7℃
  • 맑음북강릉14.7℃
  • 구름조금부산19.3℃
  • 맑음진도군18.7℃
  • 구름조금부안18.9℃
  • 맑음대관령9.0℃
  • 구름조금남해18.6℃
  • 구름조금강릉15.3℃
  • 맑음남원19.6℃
  • 맑음보령18.0℃
  • 맑음의성18.6℃
  • 맑음울릉도16.1℃
  • 맑음파주17.5℃
  • 맑음고창18.7℃
  • 맑음장수18.2℃
  • 구름조금성산19.7℃
  • 구름조금통영19.0℃
  • 맑음목포18.1℃
  • 구름조금포항18.2℃
  • 맑음인제15.6℃
  • 맑음추풍령16.7℃
  • 맑음제천17.2℃
  • 맑음울진16.0℃
  • 맑음북춘천16.9℃
  • 맑음서산17.7℃
  • 맑음영광군19.2℃
  • 맑음서귀포20.9℃
  • 맑음해남20.8℃
  • 맑음철원16.7℃
  • 맑음고창군18.7℃
  • 맑음춘천18.3℃
  • 맑음동두천16.7℃
  • 맑음함양군19.3℃
  • 맑음제주20.2℃
  • 구름많음대전17.9℃
  • 구름많음인천17.0℃
  • 맑음강진군20.5℃
  • 맑음광주20.0℃
  • 맑음장흥20.4℃
  • 맑음정읍18.7℃
  • 맑음광양시20.0℃
  • 맑음군산17.8℃
  • 구름조금여수18.4℃
  • 맑음고흥20.4℃
  • 맑음부여18.5℃
  • 구름조금수원17.4℃
  • 구름조금북창원19.6℃
  • 맑음완도20.1℃
  • 구름많음청주18.0℃
  • 구름조금거제17.8℃
  • 구름조금상주16.5℃
  • 구름조금강화16.2℃
  • 구름조금서청주17.7℃
  • 구름조금양산시20.2℃
  • 맑음원주16.7℃
  • 구름조금전주19.1℃
  • 맑음정선군18.1℃
  • 구름조금밀양20.4℃
  • 구름조금울산17.7℃
  • 맑음속초14.3℃
  • 구름조금영주17.2℃
  • 맑음영천18.8℃
  • 맑음산청18.3℃
  • 맑음안동17.8℃
  • 맑음백령도14.4℃
  • 구름조금김해시20.1℃
  • 맑음경주시19.0℃
  • 맑음영덕16.4℃
  • 맑음홍천16.1℃
  • 구름조금천안17.3℃
  • 구름많음보은17.6℃
  • 구름많음동해14.2℃
  • 맑음진주19.6℃
  • 구름많음북부산19.4℃
  • 구름조금양평17.1℃
  • 구름조금대구19.8℃
  • 구름조금충주16.2℃
  • 맑음봉화16.9℃
  • 맑음서울18.7℃
  • 구름조금문경15.6℃
  • 맑음거창18.1℃
  • 맑음영월17.6℃
  • 구름많음창원17.8℃
  • 맑음고산19.8℃
  • 맑음홍성17.4℃
  • 맑음의령군18.6℃
  • 구름조금순천18.9℃
  • 구름조금이천16.3℃

[변호인 리포트] 명예훼손과 모욕 - 천주현 변호사

/ 기사승인 : 2018-06-28 12:45:00
  • -
  • +
  • 인쇄

천주현.JPG
 
 

 

사람에게 미친개란 표현을 쓰고도 무죄를 선고받았다면 쉽게 이해가 될까. 그것도 페이스북과 같이 전파성 높은 정보통신망에 글을 올려 타인을 비하한 것이라면. 대법원은 최근 201720326 판결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피고인이 피해자를 지칭하며 비하한 표현은 무식한 택시운전자미친개에게 물린 셈 치고였는데 두 표현 모두 무죄가 확정됐다. 앞의 것은 상대에게 모욕감을 주는 표현이지만 사회상규에 반하지 않는다는 이유였고, 뒤의 것은 아예 모욕적 언사가 아니라는 것이 이유였다. 이같은 경우 명예훼손과 모욕이 갈리는 구별 기준은 무엇이며, 법원에까지 올라간 모욕적 표현은 어떤 것이 있을까.

 

명예훼손죄와 모욕죄의 보호법익은 다 같이 사람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인 외부적 명예인데, 전자는 구체적 사실적시를 요하고, 후자는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표현을 요할 뿐이어서 방법에 차이가 있다. 명예훼손이 사람의 명예를 보다 더 해하는 방법인 점을 감안해 모욕죄에 비해 더 중하게 처벌된다(대판 851629 판결). 구별기준이 위와 같다지만 실무상으론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명예훼손에 이르지 못한 모욕의 예를 많이 알아둘 필요가 있다. “야 이 개 같은 잡년아, 시집을 열두 번을 간 년아”(대판 851629)는 피해자의 도덕성에 관한 경멸적 표현, “애꾸눈, 병신”(대판 941770)은 피해자의 외모에 대한 경멸적 표현, “도둑놈, 죽일 놈”(대판 4293형상864) “아무것도 아닌 똥꼬다리 같은 놈”(대판 881397) “년놈이 신고해서 경찰서에 갔다 왔다. 년은 안 나오고 놈만 나왔다”(대판 93696) 등은 분한 감정을 다소 격하게 표현한 것, “뚱뚱해서 돼지 같은 것이 자기 몸도 이기지 못한 것이 무슨 남을 돌보는가”(수원지법 2006고정1777) 역시 추상적 경멸에 불과해 명예훼손이 아니다. 모두 모욕적 표현이다.

 

피고인 A씨는 20153월 운전 중 택시운전사 B씨와 시비가 붙자 택시를 추월하며 욕을 했다. 분노한 B씨는 A씨의 차량을 추월해 앞을 가로막았고, 두 사람은 하차해 몸싸움을 벌였다. 이 일로 A씨는 B씨의 멱살을 잡아 폭행죄로 벌금형을 선고 받았고, 이후 B씨는 A씨에게 위자료소송을 걸어 원수가 따로 없었다. A씨는 B씨를 고소한 사건이 무혐의로 처리되고 자신만 전과자가 되자 페이스북에 일련의 일들을 상세히 썼다. 그 과정에서 A씨는 억울함을 토로하는 방법으로 미친개에게 물린 셈 치고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그렇다면 해당 표현은 형사사건까지 된 것이 억울하다는 마음을 표현한 것에 불과해 B씨에 대한 모욕으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무식한 택시운전자라는 표현은 법상 모욕이 맞지만 글 전체 내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모욕의 정도가 경미해 사회상규에 반했다고까지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것이 대법원이 두 표현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이유다.

 

평소 법원은 명예훼손 사건의 처벌 가부를 결정할 때 발설 내용과 동기를 중요시하고(대판 831017: 대판 20086515: 대판 20102877) 표현의 객관적 내용, 독자가 게시물을 접하는 방법, 사용된 어휘의 통상적인 의미, 전체적인 흐름, 문구의 연결방법을 모두 참작한다(대판 941770: 대판 9831356 판결: 대판 982188: 대판 20031868). 헌법상 표현의 자유가 너무나 쉽게 제한돼서는 안 된다는 점과 기본권 간 비교형량을 통해 각 사건에서 적절하게 균형을 잡겠다는 취지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