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세상의 창] 빛바랜 판문점 선언 - 정승열 법무사

  • 흐림원주21.3℃
  • 흐림거창17.8℃
  • 비포항18.6℃
  • 흐림서귀포27.5℃
  • 흐림해남20.0℃
  • 흐림부산22.2℃
  • 흐림세종20.2℃
  • 흐림강진군20.0℃
  • 흐림남해22.1℃
  • 구름많음고산28.6℃
  • 흐림서청주21.0℃
  • 흐림춘천20.0℃
  • 흐림고흥22.9℃
  • 흐림진도군18.6℃
  • 흐림북창원20.9℃
  • 흐림서울22.0℃
  • 흐림영월20.1℃
  • 흐림보은18.6℃
  • 비청주22.6℃
  • 흐림남원18.6℃
  • 흐림부여21.1℃
  • 흐림밀양20.8℃
  • 흐림함양군19.3℃
  • 흐림속초22.6℃
  • 흐림진주20.6℃
  • 흐림장흥20.4℃
  • 구름많음성산25.8℃
  • 흐림정읍18.9℃
  • 흐림청송군18.5℃
  • 흐림산청19.0℃
  • 흐림추풍령17.7℃
  • 흐림고창군18.2℃
  • 흐림합천18.7℃
  • 흐림인천23.0℃
  • 구름많음제주26.4℃
  • 비전주18.8℃
  • 흐림영광군17.5℃
  • 흐림충주21.3℃
  • 흐림파주19.3℃
  • 흐림수원20.8℃
  • 구름많음통영23.0℃
  • 비대구18.1℃
  • 흐림광주18.0℃
  • 흐림보령21.1℃
  • 흐림문경19.5℃
  • 흐림북춘천19.9℃
  • 흐림경주시18.4℃
  • 흐림홍천20.5℃
  • 흐림천안20.6℃
  • 비홍성21.3℃
  • 흐림고창18.4℃
  • 흐림순천18.7℃
  • 흐림대관령15.6℃
  • 흐림금산18.8℃
  • 흐림대전20.3℃
  • 흐림인제19.4℃
  • 흐림여수22.9℃
  • 흐림동두천19.2℃
  • 흐림이천21.0℃
  • 흐림양산시21.9℃
  • 흐림제천20.0℃
  • 비흑산도21.0℃
  • 흐림영덕19.8℃
  • 흐림동해22.9℃
  • 흐림정선군19.7℃
  • 흐림의성19.4℃
  • 흐림영주19.3℃
  • 흐림양평20.4℃
  • 흐림태백18.6℃
  • 흐림북부산22.8℃
  • 비북강릉22.7℃
  • 비울릉도23.5℃
  • 흐림울진22.0℃
  • 흐림장수16.5℃
  • 비목포19.4℃
  • 흐림구미19.2℃
  • 흐림봉화18.6℃
  • 흐림강화20.0℃
  • 박무백령도21.9℃
  • 흐림임실17.9℃
  • 구름많음거제22.3℃
  • 흐림철원18.7℃
  • 흐림보성군21.7℃
  • 흐림의령군17.5℃
  • 흐림순창군17.1℃
  • 구름많음김해시21.4℃
  • 흐림상주19.1℃
  • 흐림강릉23.2℃
  • 흐림군산20.4℃
  • 흐림부안19.2℃
  • 비안동19.9℃
  • 흐림광양시22.5℃
  • 흐림서산21.3℃
  • 흐림울산18.9℃
  • 흐림영천17.5℃
  • 흐림완도21.3℃
  • 흐림창원20.8℃

[세상의 창] 빛바랜 판문점 선언 - 정승열 법무사

/ 기사승인 : 2019-05-02 13:14:00
  • -
  • +
  • 인쇄

정승열.JPG
 
 

427일은 남북이 판문점에서 3차 정상회담 후 발표한 판문점 선언 1주년이 되는 날이다. 판문점 선언은 한반도 비핵화, 남북 관계개선, 그리고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남··미 정상회담 추진 등인데, 이것은 2007DJ와 김정일 간에 평양에서 열린 제2차 남북정상회담 후 발표한 ‘10·4공동선언과 비슷하지만 시기와 방식을 명시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남북은 휴전선에서 적대행위 중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 이산가족 상봉, 경제 협력하며 동해선과 경의선 철도와 도로 연결 등을 합의하고, 201851일부터 휴전선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 등을 중지했다. 그렇지만, 227일 하노이 북미회담 결렬 이후 북한은 김정은이 우리 정부와 트럼프 대통령을 싸잡아 비난하고, 대남 선전 매체를 동원하여 연일 대남비방을 일삼고 있다. 어쩌면 20181월 김정은의 신년사 이전으로 되돌아간 느낌마저 들게 하는데도 우리 정부는 이날 판문점에서 국회, 각계 인사 등 500명의 내외 빈을 초청해서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의 예술가들이 펼치는 공연을 필두로 6곳에서 공연을 벌였다.

 

사실 김정은은 지난해 싱가포르 북미회담 이후 중간 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의 초조함을 이용하여 큰 양보를 얻어내려고 미적댔지만, 트럼프가 중간 선거를 무난히 넘기자 2차 회담에 응했으나 회담이 결렬되자 핵 발사대를 재가동하는 한편 남한과 미국을 싸잡아 비난하고 있다. 그리고 판문점 선언 1주년을 이틀 앞둔 425일 블라디보스톡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첫 북러정상회담을 하고, 한반도 비핵화 지지와 북한 체제보장을 위해서 노력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것은 김정은이 18일 베이징에서 중국 시진핑과의 회담 후 하노이회담 결렬되자 우방국의 지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의 표시였고, 푸틴으로서도 그동안 중국에 기울어진 북한의 주목도 받고 북미대화에서 소외되다가 유명무실해진 한반도 6자회담을 구실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를 보인 회담이었다. , 푸틴은 이번 주 북경에서 시진핑과 만날 예정이어서 어떤 형태로든 한반도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많은데, 김정은도 시진핑과 만난 지 4개월 만에 재차 중국을 방문하거나 시진핑을 초청해서 북중 회담을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돌아보면 201112월 김정일이 죽고 28살의 김정은이 권좌에 올랐을 때 많은 북한 전문가들은 김정은이 체제안정에 실패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그는 이런 분석을 비웃듯이 할아버지 김일성이 19489월 북한을 건국한 이후 70년 동안 김일성과 아버지 김정일이 이룩한 능력을 뛰어넘어 국제 정치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것은 오로지 핵무기 개발을 완성했다는 사실 하나 때문이다그런 김정은이 확실한 담보 없이 핵을 폐기할 것으로 믿는다면, 믿는 사람이 바보이다.

 

그런데, 철저한 장사꾼 출신 트럼프도 김정은을 과소평가하고 그를 국제무대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도록 해주었고, 또 북한과 미국의 중간자 역할을 자임하며 세계 각국과 국제회의를 돌아다니며 미국의 대북 제제 완화를 요청 했지만 각국 정상들로부터 외면 받은 문 대통령도 마찬가지이다. 심지어 문 대통령은 미국으로부터 미국이 아닌 북한을 지지하고 있다고 불신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미 언론으로부터 김정은의 대변인이라는 비난까지 받는 샌드위치 신세가 되기도 했다.

 

2차 대전이 끝나자 세계는 미소를 두 축으로 한 냉전체제가 형성되어 새로운 국제질서를 형성했지만, 1980년대 말 미국은 세계평화와 공존을 위협하는 생화학, 핵무기 등 대량 살상 무기를 개발하거나 국제테러와 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쿠바, 이란, 이라크, 리비아, 북한, 수단, 시리아 등을 불량국가(rouge state)라고 하는 새로운 적을 만들었다. 최근에는 마약 밀매는 물론 고도의 컴퓨터 해킹기술로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데, 북한은 198712KAL 858기 폭파사건 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되었다.

 

20021월 조지 부시 대통령은 연두교서에서 불량국가 중에서도 이라크, 이란, 북한을 악의 축(Axis of Evil)’이라고 규정했지만, 한반도 6자회담이 진행되면서 북한이 200810월 영변 핵시설 냉각탑을 폭파하고 핵 검증에 합의하자 즉시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했다. 그러나 20172월 김정남 암살사건과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망 사건을 계기로 9년 만에 다시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다. 유엔도 그동안 북한을 수차 핵 개발에 대한 제제로 규제 결의안을 의결하고 있지만, 우리는 김정은이 유일한 카드인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는 결코 믿지 않는다.

 

분명한 것은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가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업적 쌓기에 안달하고 있지만, 3대 세습 왕조 국가인 김정은에게는 그런 선거가 없기 때문에 결국 트럼프는 쫓기는 입장이고 김정은이 느긋하게 관망하는 입장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북미 중개자 역을 자임한 대통령이 북미로부터 불신을 받고, 청와대 집무실에 설치된 평양과의 핫라인은 무용지물이 되고, 개성에 문을 연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개점휴업상태이고, 지난 1년여 동안 수십 차례 세계를 돌아다니며 대북 제제 완화를 설득하러 다녔어도 외면 받은 대통령의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맞는 마음이 안쓰럽기만 하다. 그리고 이날을 기념하는 축하공연은 어느 누구도 공감하지 않는 한편의 코미디 같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