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세상의 창] 토사구팽 - 정승열 법무사

  • 구름조금밀양24.9℃
  • 구름많음인제22.4℃
  • 구름많음고흥24.6℃
  • 흐림정읍19.6℃
  • 구름많음춘천24.7℃
  • 흐림금산22.8℃
  • 흐림동해25.4℃
  • 흐림상주23.2℃
  • 흐림강릉27.5℃
  • 구름조금북창원27.3℃
  • 구름많음완도25.9℃
  • 구름많음문경22.0℃
  • 흐림울릉도25.5℃
  • 구름많음경주시24.2℃
  • 구름조금여수26.0℃
  • 흐림광주18.6℃
  • 구름많음거제26.4℃
  • 구름많음북부산27.6℃
  • 구름많음태백22.9℃
  • 비흑산도22.4℃
  • 흐림서청주22.5℃
  • 흐림수원24.5℃
  • 구름많음북강릉24.5℃
  • 흐림정선군23.7℃
  • 흐림인천25.0℃
  • 흐림대관령20.3℃
  • 흐림원주24.8℃
  • 구름많음순천21.5℃
  • 구름많음제주28.8℃
  • 흐림북춘천24.0℃
  • 구름많음고산27.1℃
  • 구름많음통영25.9℃
  • 흐림목포22.2℃
  • 구름많음거창21.2℃
  • 흐림제천22.8℃
  • 흐림양평24.7℃
  • 흐림울진24.8℃
  • 구름많음영천24.3℃
  • 흐림보령23.2℃
  • 맑음봉화22.1℃
  • 흐림고창22.4℃
  • 흐림백령도23.0℃
  • 흐림전주22.3℃
  • 흐림강화22.9℃
  • 흐림대전23.3℃
  • 흐림장수15.3℃
  • 구름많음진도군23.3℃
  • 흐림부안22.6℃
  • 흐림부여22.5℃
  • 흐림영월23.1℃
  • 흐림속초25.3℃
  • 구름조금성산28.4℃
  • 구름조금강진군24.9℃
  • 구름많음창원26.4℃
  • 흐림대구24.3℃
  • 흐림영광군22.3℃
  • 흐림청송군23.9℃
  • 흐림군산22.6℃
  • 구름조금파주22.0℃
  • 흐림구미23.6℃
  • 흐림영주22.2℃
  • 흐림임실18.2℃
  • 흐림홍성23.3℃
  • 흐림세종22.0℃
  • 맑음이천24.4℃
  • 구름많음양산시27.8℃
  • 구름많음함양군20.4℃
  • 흐림서울25.7℃
  • 구름많음부산26.6℃
  • 구름많음김해시26.9℃
  • 흐림청주24.7℃
  • 흐림의성23.7℃
  • 맑음동두천22.6℃
  • 구름조금남해24.0℃
  • 구름많음울산26.0℃
  • 구름조금해남22.5℃
  • 구름많음추풍령20.4℃
  • 흐림철원22.7℃
  • 흐림충주23.2℃
  • 흐림영덕24.2℃
  • 흐림홍천22.9℃
  • 구름많음광양시24.7℃
  • 구름많음서귀포29.4℃
  • 구름많음장흥24.4℃
  • 구름많음서산24.1℃
  • 구름많음보성군24.0℃
  • 구름많음의령군23.3℃
  • 구름많음순창군19.6℃
  • 흐림보은22.4℃
  • 흐림남원19.2℃
  • 흐림천안22.9℃
  • 구름많음진주24.8℃
  • 흐림합천24.0℃
  • 흐림고창군21.7℃
  • 흐림포항25.2℃
  • 흐림안동23.2℃
  • 구름조금산청22.0℃

[세상의 창] 토사구팽 - 정승열 법무사

김민주 / 기사승인 : 2020-04-16 13:22:00
  • -
  • +
  • 인쇄

정승열.JPG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과거를 돌아보는 것만큼 훌륭한 교과서는 없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것은 어리석은 선택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지만, 인간의 어리석음이 반복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 사악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마치 금방 타 죽을 운명도 모른 채 불꽃 주변을 맴도는 불나비 같은 존재가 인간인 것 같다.

 

정권을 잡기 위하여 힘을 모았다가도 갈등과 질투로 확대되어 배신과 숙청을 반복하는 것은 고금의 역사에서 잘 알 수 있는데, 요즘에는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라는 고사성어 토사구팽(兎死狗烹)이 마음 한구석에 크게 자리 잡고 있다.

 

전국시대(戰國時代)에 가장 강력하던 오와 월은 와신상담(臥薪嘗膽). 각주구검(刻舟求劍) 등 숱한 고사성어를 만들어 냈다. 월왕 구천(句踐)이 최후의 승리를 하자 20여 년 동안 그를 돕던 모사 범려(范蠡)는 상장군이 되었지만, 구천이 어려움은 같이할 수 있어도 즐거움은 함께할 인물이 못 된다는 것을 알고 제(齊)나라로 떠났다. 제나라에 간 범려는 절친했던 월나라의 대부 문종(文種)에게 편지를 보냈다.

 

“하늘에 새가 다하면 좋은 활도 창고에 넣어 두게 되고,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겨 죽고, 적국이 망하면 모사가 죽는 법이요. 게다가 월왕 구천의 상은 목이 길고 입은 새 부리처럼 생겼는데, 이런 인물은 어려움은 함께할 수 있으나 즐거움은 함께 누릴 수 없소. 그대는 어째서 떠나지 않는 것이오?”.

 

문종은 그 편지를 본 후 병을 칭하고 조회에 나가지 않자, 사람들은 문종이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고 참소했다. 월왕 구천이 문종에게 칼을 주며 말했다.

 

“그대가 과인에게 오나라를 치는 일곱 가지 술책을 가르쳐 주었고, 과인이 그중에 셋을 써 오나라를 멸망시켰다. 나머지 네 가지가 그대에게 있으니, 그대는 나를 위해 선왕을 따라 시험해 보라(范蠡遂去, 自齊遺大夫種書曰, 蜚鳥盡, 良弓藏. 狡兎死, 走狗烹. 越王爲人長頸鳥喙, 可與共患難, 不可與共樂. 子何不去. 種見書, 稱病不朝. 人或讒種且作亂, 越王乃賜種劍曰, 子敎寡人伐吳七術, 寡人用其三而敗吳. 其四在子, 子爲我從先王試之. 種遂自殺)” 문종은 자살하고 말았다.

 

이것은 사마천의 사기(史記) 월세가(越世家)에 기록된 말로서 ‘새를 잡으면 활을 창고에 넣고(飛鳥盡弓藏)‘,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狡兎死走狗烹)’라는 구절 중 후반부를 줄여서 토사구팽이라 하지만, 간단히 뒷글자 한 글자만 따서 ‘팽(烹)하다’ 혹은 ‘팽당하다’라고도 한다.

 

역사상 군주들은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패권을 노리지만, 일단 패권을 잡은 후에는 인식이 크게 달라진다. 패자에게 그들은 예전의 동료가 아니라 잠재적 라이벌로 여기며, 자신의 권력행사에 장애가 된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대부분의 패자들은 그들과 끝까지 권력을 공유하겠다는 생각보다는 일단은 그들을 공신으로 우대하면서, 다른 여러 방법으로 그들을 견제하곤 했다. 이것이 비열한 정치의 생리인데, 특히 한 고조 유방이나 명 태조 주원장처럼 비천한 출신으로서 신하들에게 얕보이기 쉬운 조건을 갖고 있던 경우에는 더더욱 피해의식을 갖기 대하기 마련이었다. 한 고조와 함께 항우의 초(楚)를 패망시켰던 한왕 한신(韓信)은 진희(秦檜)와 더불어 모반을 꾀하다가 여황후와 소하(蕭何)의 계략에 넘어가 참수형을 당했다.

 

“과연 사람들의 말이 맞구나.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좋은 사냥개가 삶기고, 높이 나는 새가 사라지면 좋은 활도 감춰지며, 적국이 패망하면 지략이 뛰어난 신하도 망한다더니, 이제 천하가 평정되었으니 내가 삶기는 것도 당연하겠지.(果若人言. 狡兎死良狗烹, 高鳥盡良弓藏, 敵國破謀臣亡. 天下已定, 我固當烹)” 라며 후회했다고 한다. 사기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기록하고 있다.

 

4월 총선은 촛불집회로 정권을 장악한 현 정부가 집권 2기의 안정화를 노리는 선거이다. 선거판에 뛰어든 이들은 국민과 국가를 위한다고 말하지만, 속셈은 권력을 휘두르는 맛에 취해있기 마련이다. 진보좌파의 이념으로 똘똘 뭉친 여당에 비해서 야당은 친박, 친 MB, 친황(黃) 그리고 TK, PK, 호남 등 이루다 구별할 수 없을 만큼 잡다한 이해관계로 분산되어 있어서 결과가 뻔해 보인다.

 

여당이 권력을 지키게 된다면 논공행상을 벌이고, 너무 웃자라는 세력을 제거하는 토사구팽을 벌이겠지만, 설령 야당이 반문(反文)의 기치 아래 단합하여 다수당을 이룬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이념으로 뭉친 것이 아닌 야합에 불과해서 서로 공과를 다투고, 또다시 주도권을 장악하려고 이합집산을 반복하며 팽당할 때에야 비로소 현실에 눈을 뜨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