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수칙, 위생점검 등 직원과 고객의 안전 조치가 철저한 근무지 선호 42.5%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코로나 시대에서는 안전한 아르바이트를 선호하는 비중이 크게 는 것으로 조사됐다. 즉 아르바이트의 최우선 조건이 돈에서 안전으로 바뀐 것이다.
최근 알바몬(대표 윤병준)이 아르바이트생 1,259명을 대상으로 ‘꿀알바의 조건’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2.4%가 ‘코로나19 이후 알바를 선택하는 기준에 변화가 있다’라고 답했다.
또 구직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코로나19가 아르바이트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설문 분석결과에 따르면 40대 이상 아르바이트생 81.3%가 ‘코로나 이후 아르바이트 선택기준이 달라졌다’라고 답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30대 78.2%, 20대 66.4%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성 77.9%, 여성 66.9%로 남성이 더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히 구체적으로 어떤 점들이 달라졌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안전수칙, 위생점검 등 직원과 고객의 안전을 위한 조치가 철저한 근무지가 좋다”는 응답이 42.5%의 1위를 차지했다.
더욱이 ‘높은 급여를 주더라도 너무 많은 손님과 접촉하는 업무는 꺼려진다’라는 응답은 36.0%로 2위에 올랐다.
이어 ‘마스크, 손 소독제 등 위생 관련 제품을 제공해주는 근무지가 좋다(28.3%)’, ‘여러 명이 함께 일하기보다 혼자서 하는 아르바이트가 좋다(25.6%)’, ‘번화가에 있거나 이동 경로가 긴 근무지는 꺼려진다(25.2%)’ 순이었다.
또한 ‘서비스직, 행사 요원 등의 특정 직무 아르바이트는 꺼려진다(24.5%)’거나 ‘4대 보험, 특히 의료보험 혜택이 제공되는지를 살펴본다(16.7%)’, ‘심야, 새벽 등 손님이 별로 없는 특정 시간대의 파트타임 아르바이트를 선호하게 됐다(10.1%)’ 등도 코로나 이후 달라진 아르바이트 선택기준으로 꼽혔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이전, 아르바이트생들이 선호해온 일반적인 꿀알바의 기준과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