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모든 것이 서툰 신입사원에게는 조금의 관대함이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신입사원이라도 절대 해서는 안 될 치명적인 실수가 있다. 바로 근무 태도나 복장 등 기본적인 예의를 지키지 않는 것이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529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이라도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치명적인 실수’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근태, 복장 등 기본적 예의 실수’가 31.9%(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어느 정도 실수가 용인되는 신입사원이라도 조직 생활을 하는 회사원인 만큼 지각이나 무단결근, 어울리지 않는 복장과 같이 기본 매너를 지키지 않는 것은 절대 해서는 안 될 행동으로 꼽혔다.
이어 ▲상사 뒷담화 들키는 등 말실수 28.2% ▲업무 중 과도한 딴짓 27.5% ▲분위기 파악 못 하는 행동이나 발언을 함 23.2% ▲지시와 다른 방향으로 업무 진행 17.3% ▲회식 등 술자리에서의 행동이나 말실수 16.2% ▲보고 시 은어 사용 등 언어 사용 실수 13.4%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또 신입사원이라는 이유로 실수를 눈감아 줄 수 있는 기간은 입사 후 평균 5개월까지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개월’(43.2%), ‘6개월’(27.5%), ‘2개월’(7.8%), ‘1개월 이하’(6.5%) 등의 순으로 길지 않은 편이었다.
한편, 신입사원들이 가장 자주 하는 실수로는 ‘지시와 다른 방향으로 업무 진행’이 3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분위기 파악 못 하는 행동이나 발언을 함 10.9% △전화 응대 실수 10.9% △첨부파일을 빠트리는 등 이메일 실수 10.8% △근태, 복장 등 기본적 예의 실수 9.9% △직급을 잘못 부르는 등 호칭 실수 7.1% 등의 순으로 답했다.
반면, 선배 직장인들은 신입사원 시절 실수를 했을 때 바람직한 행동으로 즉시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거나(72.1%, 복수응답) 상사나 선배에게 도움을 요청(52.3%)하는 좋다고 답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모든 것이 익숙하지 않은 신입사원 시절에는 대체로 실수에 대해 너그러운 편이나, 기본적인 태도 부분에서의 실수는 절대 금물”이라며 “직장 내 에티켓을 지키는 것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