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한국사 불필요한 스펙 1위로 꼽혀, 꼭 갖춰야 할 스펙은 ‘업무 관련 자격증’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기업들은 한자, 한국사 자격증을 불필요한 스펙 1위로 꼽았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80개사를 대상으로 ‘채용 평가 시 불필요한 스펙이 있는 지 여부’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62.1%가 “불필요한 스펙”이 있다’라고 밝혔다.
불필요한 스펙 1위는 ‘한자, 한국사 자격증’이 55.7%(복수응답)로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는 ▲극기, 이색경험 49.4% ▲석·박사 학위 23% ▲회계사 등 고급자격증 21.8% ▲제2외국어 능력 20.1%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경험 19.5% ▲출신학교 등 학벌 19.5% ▲해외 유학·연수 경험 17.2% ▲OA 자격증 16.7% 등의 순이었다.
이런 스펙들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71.8%(복수응답)가 “직무와 연관성이 높지 않아서”라고 응답했다.
이어 근소한 차이로 ‘실무에 필요하지 않은 스펙이어서’라는 응답이 69%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운 기준이어서 17.8% △변별력이 낮아서 14.4% △불필요한 선입견을 줄 수 있어서 11.5% 등이 있었다.
하지만 기업들의 생각과는 달리 불필요한 스펙을 가진 지원자들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에 불필요한 스펙을 가진 지원자들이 증가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51.1%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답했으며, 40.8%는 “비슷하다”라고 밝혔다. 반면 “감소하고 있다”라는 응답은 8%에 불과했다.
이는 블라인드 채용 등 스펙을 최대한 배제하고 실무 역량 평가를 중시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음에도, 구직자들은 계속되는 취업난에 따른 불안감 때문에 하나의 스펙이라도 더 쌓고자 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반대로 꼭 갖춰야 하는 스펙이 있을까?
전체 응답 기업 10곳 중 6곳(61.1%)이 ‘필요한 스펙이 있다’라고 밝혔다.
구직자가 꼭 갖춰야 할 스펙은 ‘업무 관련 자격증’이 66.1%(복수응답)로 1위에 올랐다. 이어 ‘인턴 경험’(20.5%), ‘공인영어성적’(19.3%), ‘학점’(17%) 등이 있었다.
이번 조사에 대해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기업들이 실무에 빨리 적응해 성과를 내는 실전형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보여주기식 스펙’을 나열하는 것은 오히려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다”라며 “불안한 마음에 남들이 쌓는 스펙을 무조건 따라 쌓기보다는 한가지라도 실전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나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인턴 활동이나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