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44.9%가 대기업 선호…이유는 만족스러운 급여 때문, 중소기업은 3.9%에 불과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코로나19로 취업 문이 더욱 좁아졌지만, 올해 대학생 2명 중 1명은 ‘대기업’ 입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대학생 1,06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0 대학생이 꼽은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설문조사 결과 대기업 입사 희망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현재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형태’에 대한 설문(5개 보기)에 응답자의 44.9%가 ‘대기업’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공공기관 ·공기업 22.3% ▲중견기업 21.8% ▲기업형태는 상관없음 7.1% ▲중소기업 3.9% 순이었다.
이는 지난해 동일 설문조사 결과 대기업(41.2%)이 1위에 오른 것은 동일했지만, 그 비율이 높아졌다. 공공기관은 지난해보다 1.8%p 상승한 22.3%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반면 지난해 25%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던 중견기업은 올해 21.8%로 3.2%p 하락하며 2위로 밀려났다. 또 중소기업은 지난해 6.6%에서 3.9%로 2.7%p 하락했다.
특히 전공별로 대학생이 희망한 기업형태도 달랐다. 공학, 전자계열 전공 대학생 중 무려 절반 이상(각 52.4%, 66.7%)이 ‘대기업에 지원하겠다’라고 밝혔으나, ‘중소기업을 지원하겠다’라는 응답은 2.6%와 0.0%(응답자 없음)에 불과했다.
중견기업을 지원하겠다는 희망자는 예체능, 사회계열 전공자(27.8%, 26.9%)가 많았으며, 공공기관은 전공 상관없이 평이한 결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대기업 입사 희망자의 경우 남성(49.7%)이 여성(41.3%)보다 높았다. 그러나 △공공기관을 희망하는 남성(19.4%)보다 여성(24.5%)이 높았으며, △기업형태는 상관없다고 답한 경우도 여성(8.0%)이 남성(5.9%)보다 많았다.
한편, 대학생들의 입사희망 기준은 ‘급여·보상제도’와 ‘고용안정성’이 각각 21.9%와 17.9%로 1,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성장 개발 가능성과 비전’이 14.7%로 그 뒤를 이었다.
기업별로는 공공기관과 공기업 지원자의 경우 무려 절반 이상이 고용안전성(52.2%)을 지원이유로 선택했으며, 2위로는 워라밸을 중시하는 기업풍토(19.3%)를 꼽았다.
이와 반면, 대기업의 경우 만족스러운 급여(36.1%)와 성장개발 가능성과 비전(13.9%), 구성원으로서의 자부심(12.0%)이 주 지원 사유였다.
인크루트 서미영 대표는 “올해 조사의 가장 큰 특징은 중소기업 입사 선호도가 크게 떨어진 점, 반대로 대기업과 공공기관 인기는 작년보다 늘어난 점일 것”이라며 “코로나 여파로 인해 고용안정성과 미래 성장 개발성이 대두되며 대기업과 공공기관 채용에 기대감이 오른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