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영난 등으로 기업 10곳 중 2곳 이상은 지난해 구조조정을 실시했거나 올해 실시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625개사를 대상으로 ‘구조조정 실시 현황’에 관해 조사한 결과, 지난해 구조조정을 실시했거나 올해 실시할 계획이라고 답한 기업이 23.2%나 됐다.
다만, 2020년(27.2%)보다는 소폭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이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이유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49%(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팬데믹 등으로 경영 상황이 악화돼서’라는 응답이 48.3%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고정비 부담이 증가해서 35.2% ▲잉여 인력이 있어서 20.7% ▲합병, 사업부 개편(정리) 등이 예정돼 있어서 9.7% 등의 순이었다.
또 구조조정 목표 인원은 전체 직원 대비 18.3%로 집계됐다.
인력 구조조정 방식은 ‘권고사직’이 66.2%(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희망퇴직/명예퇴직’(25.5%), ‘정리해고’(15.9%) 등의 순이었다.
한편, 전체 응답 기업의 10곳 중 6곳(57.8%)는 인건비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인건비에 부담을 느끼는 이유로는 ‘경영 상황이 악화돼서’(44.9%), ‘최저임금이 많이 올라서’(37.1%), ‘다른 고정비가 인상되고 있어서’(31.3%), ‘업계 전반적으로 임금을 올리는 추세여서’(24.4%), ‘금리 인상, 국제 정세 등 경영 환경 불확실성이 커져서’(11.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