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 목표에 발맞춰 공직사회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를 직급이 아닌 직무 중심으로 전면 개편한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원장 임채원)은 6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공무원 인공지능 교육 발전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하고, 향후 인공지능 교육체계 전환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가 교육기관 최초로 인공지능을 주제로 열린 공개 포럼으로,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임채원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AI 대전환 시대 공무원이 갖춰야 할 역량과 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종합 토론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직무·AI 활용 능력별 맞춤형 교육 ▲현장 문제를 해결하는 ‘AI 끝장 개발대회(해커톤)’형 교육 ▲비판적 사고·윤리 교육 강화를 핵심 축으로 삼고 발전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주제 발표에서는 박태웅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공공 인공지능전환(AX) 분과장이 정부 AI 비전과 공직자 역할 변화를 제시했으며, 한국생산성본부 박성진 팀장은 공무원 AI 교육체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 진행된 종합토론에는 구자춘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이진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김상윤 경희대학교 교수, 임기남 네이버클라우드 교육사업부 총괄, 신현미 국가인재원 연구개발센터장이 참여했다.
국가인재원은 내년부터 인공지능 교육체계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진천 본원 내 대규모 AI 교육장을 구축하고 신규·재직 공무원 전원을 대상으로 실전형 ‘리빙랩(Living Lab)’ 교육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 교육은 공무원들이 국민이 겪는 불편 행정 문제를 직접 정의하고, 공공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파일럿 정책 서비스를 개발해보는 방식이다.
또한 올해 6월부터 온라인 교육체계인 ‘나라배움터’에 138개 콘텐츠를 갖춘 AI 전용관을 개설, AI 학습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기존 과천에서만 진행되던 실습 교육을 세종·대전까지 확대하면서 정원의 3배 이상이 신청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지난 8월 운영한 하정우 대통령실 인공지능미래기획수석비서관 온라인 특강은 역대 최다 수강자를 기록하며 공직사회의 AI 학습 열기를 보여줬다.
국가인재원은 앞으로 정부 AI 전략의 핵심인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기조에 맞춰, 정책 실무에 직접 적용 가능한 교육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임채원 원장은 “AI 대전환은 기술을 넘어 문명사적 변화를 이끄는 흐름”이라며 “공직사회가 이를 선도할 역량과 역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맞춤형 AI 역량 강화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