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2025~2029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이 최근 유니버설디자인위원회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전국 시도교육청 중 최초로 시행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기존의 ‘무장애(Barrier-Free)’ 개념을 넘어, 성별·연령·국적·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학생과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시교육청은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정서장애 학생, 다문화 학생 등 교육 현장의 다양성을 적극 반영하고, 단순한 물리적 접근성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문화적 포용 등 비물리적 요소까지 포함한 교육환경 기준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다름을 넘어 공존하는 학교’를 비전으로 한 ① 정서장애 학생 공간설계 기준 정립 ② 다문화 학생 정보환경·공간디자인 기준 ③ 성인지 감수성 기반 공간 구성 ④ 다양한 사용자별 공간 기준 ⑤ 학령별 공간 설계 기준 등 5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서울시교육청은 기본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인력풀 구성 및 운영 △학생 참여형 설계제도 도입 △교직원 전문 연수 프로그램 운영 △우수사례 표창제도 신설 등 정책적 실행 기반도 함께 구축한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 교육과정 도입을 통해 학생 스스로 포용적 디자인의 가치를 이해하고, 학교 공간 조성에 참여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은 모든 학생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학교 환경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학생과 교직원, 학부모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며 함께 성장하는 포용적 학교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계획 시행으로 정서장애·다문화 학생 등 다양한 특성을 포용한 공간 조성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차별 없는 학습환경 실현을 통해 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과 교육의 공공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