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안전교육 담당 선도교원 200명 대상 시연회 개최 예정
<학교안전정보센터 접속 후 안전교육 자료실 위치>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장애학생을 위한 수어 및 화면해설, 다문화 학생을 위한 영어 및 베트남어 자막 등의 콘텐츠 1,600개를 개발해 총 2,000여 개의 콘텐츠가 제공된다.
교육부는 25일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화시스템과 협력해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 400종과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교육 콘텐츠 6종을 개발해 7월 1일부터 전국의 모든 학교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보급되는 콘텐츠는 다문화·장애학생용을 포함, 총 2,000여 개에 이른다.
교육부는 지난 5년간의 학교안전사고 통계와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교 안전사고의 대부분이 교육활동 중에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해 체육활동, 현장 체험학습, 실험·실습 등 교육활동을 주제로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80편씩 총 400종의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A씨는 수업활동 중에 발생하는 가위나 종이로 인한 손베임 사고를 줄이기 위해 저학년에 맞는 안전교육을 고민하던 중, 초등 저학년 교과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주제로 한 안전교육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눈에 띄게 줄일 수 있었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 B씨는 청각장애가 있는 학생을 위해 수어와 화면해설이 포함된 안전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화재대피 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도 다양한 위험 상황에 대한 대응 요령을 잘 익힐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장애학생을 위한 수어 및 화면해설, 다문화 학생을 위한 영어 및 베트남어 자막 등의 콘텐츠 1,600개를 추가로 개발하여 총 2,000여 개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언어나 신체의 불편함으로 인해 안전교육에 취약한 학생들까지 빠짐없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 콘텐츠 5종과 가상현실(VR) 콘텐츠 1종을 개발해 ‘위캔버스’에 탑재하고, 안전체험시설을 방문하기 어려운 도서벽지 학생들이 가상세계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안전 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부와 학교안전공제중앙회는 학교 현장에서 안전교육 콘텐츠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의 안전교육 담당 선도교원 200명을 초청하여 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활용 방법을 안내하고 직접 체험하는 시연회를 26일 개최할 예정이다.
개발된 안전교육 콘텐츠는 학교안전정보센터 누리집을 통해 학생, 학부모, 교사뿐 아니라 일반 국민도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조회 가능하며,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전진석 교육자치협력안전국장은 “모든 학생이 내실 있는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일반 학생뿐 아니라 취약계층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 보급은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우리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보급하겠다”라고 말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