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이 지난 20년 사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지난 6일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인사통계’ 책자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지난해 말 기준, 10만6천12명으로 전체 자치단체 공무원의 34.9%를 차지하였다.
여성공무원 비율이 높은 시‧도는 부산시가 38.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시 37.9%, 경기도 37.2%순이었다. 반면 비율이 낮은 지역은 강원도가 30.4%, 충남 31.5%로 낮았다. 다만, 17개 시‧도 모두 여성공무원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7급 공채 여성 합격자 비율은 전체의 37%이고, 9급 공채의 경우 2005년 여성합격자가 50%를 돌파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지난해에는 58.2%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공채시험의 여성강세로 인해, 2016년 한 해 동안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따라 추가합격한 공무원은 남성156명, 여성 61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여성관리자의 경우, 5급 이상 여성관리자는 ’95년 604명(3.6%)에서 매년 증가해 ’16년도에는 2천775명(12.6%)로 약 4배 증가했다. 4급 이상 관리자도 ’95년 30명(1.2%)에서 지난해 268명(7.8%)으로 6.6%p이상 증가하는 등 고위공직자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남에서는 올 7월 정기인사에서 첫 여성 부시장(신현숙 광양부시장)을 임용하였고, 광주광역시에서는 여성공무원 3명이 4급으로 승진, 충북 괴산군에서는 여성사무관 3명을 주요부서에 배치하는 등 여성지도자 양성을 위한 자치단체의 노력이 눈에 띈다.
이밖에 자치단체 내 기획, 예산, 인사, 감사, 실국 주무과의 여성 비율도 11.6%(’11년)에서 37.4%(’16년)까지 높아져 상위직급으로 승진할 수 있는 기회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향후 여성관리자 비율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방공무원 육아휴직자 수는 총 8천458명으로 10년 전인 ’06년 1천826명에 비해 약 4배 이상 늘었다. 남성 육아 휴직자 수도 ’06년 95명에서 900명으로 약 10배 증가하는 등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노력이 남성에게도 확대되고 있다.
윤종진 행정안전부 자치분권정책관은 “자체단체 공무원들이 육아를 이유로 경력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인사제도로 지원할 것이며, 특히 여성 리더의 적극적 양성을 통해 실질적인 양성평등 구현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