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도의 경기침체 속에 사기업들은 채용문을 닫아버렸고, 취업절벽에 내몰린 청춘들은 가장 안정적이고 공정한 공무원 시험에 뛰어들고 있다. 이에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도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무원 증원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고, 그 결과물이 올해 채용규모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19일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018년 17개 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총 25,692명의 지방공무원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20,003명)와 비교하여 5,689명이 늘어난 규모로, 올해는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에이아이(AI) 등 전염병 관리 및 지진대응, 시설물 안전관리 등 현장 인력을 중심으로 신규 인력 증원 수요를 반영하였다.
또한, 베이붐 세대의 퇴직이 급증함에 따라 정년퇴직 및 명예퇴직이 증가했고, 일·가정 양립문화 확산을 위해 출산 및 육아 휴직에 따른 대체 근무인력 등 자치단체별 예상결원을 반영하였다.
직렬별 채용인원을 살펴보면 일반직은 7급 915명, 8·9급 17,804명으로 지난해보다 3,281명이 증원된 18,719명을 채용한다. 또 사회복지직은 지난 12월 중순 추가선발(1,489명)에 이어 올해도 1,765명을 선발할 계획이며, 치매센터와 방문간호 사업 강화를 위한 보건 및 간호직은 1,473명을 선발한다.
미세먼지와 대기오염 등에 대비한 환경직 등도 전년대비 718명 늘어난 2,533명을 선발하고, 방재안전직과 소방직도 각각 2,744명과 5,258명을 채용한다. 특히 최근 대규모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법정 소방인력 확보율이 낮은 충북(349명), 전북(466명), 경남(431명) 등은 현장소방인력을 대폭 충원할 예정이다.
시·도별 선발예정인원은 경기도가 4,67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3,498명), 경북(2,524명), 경남(2,008명) 순이었다. 각 지자체별 선발인원(일반직)은 ▲서울 3,498명(2,649명) ▲부산 1,051명(778명) ▲대구 848명(605명) ▲인천 947명(636명) ▲광주 562명(454명) ▲대전 506명(343명) ▲울산 470명(338명) ▲세종 216명(141명) ▲경기 4,672명(3,739명) ▲강원 1,342명(874명) ▲충북 1,303명(899명) ▲충남 1,695명(1,087명) ▲전북 1,613명(1,077명) ▲전남 2,003명(1,535명) ▲경북 2,524명(1,699명) ▲경남 2,008명(1,509명) ▲제주 433명(298명)이다.
한편, 올해 지방공무원 채용은 공직 다양성과 대표성을 높이고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해 장애인과 저소득층 등 취업보호대상자에 대한 공직진출 기회를 확대한다. 장애인 구분모집은 7·9급 시험을 대상으로 법정의무고용비율(3.2%)보다 높은 4.6%(859명)을 선발하고, 저소득층 구분모집은 9급 시험을 대상으로 법정의무고용비율(2%)보다 높은 4.5%(799명)를 선발할 예정이다.
시험은 16개 시‧도의 필기시험의 경우 9급 공채는 5월 19일(토)에, 7급 공채는 10월 13일(토)에 각각 실시된다. 또 서울시 경우 제1회 7‧9급 공채는 3월 24일(토)에, 제2회 7‧9급 공채는 6월 23일(토)에 동시 치러진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