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칼럼] 큰 눈으로 시대를 바라보라 - 오대혁, 시인·문화평론가

  • 흐림부안20.8℃
  • 흐림속초25.3℃
  • 흐림금산20.7℃
  • 흐림북춘천24.1℃
  • 흐림군산19.6℃
  • 비전주22.1℃
  • 구름많음성산27.9℃
  • 비포항21.3℃
  • 흐림철원22.8℃
  • 흐림진주22.0℃
  • 흐림임실19.7℃
  • 흐림추풍령19.3℃
  • 흐림부산25.9℃
  • 흐림정읍21.4℃
  • 흐림인제23.3℃
  • 흐림함양군20.0℃
  • 흐림청송군20.3℃
  • 비목포20.6℃
  • 흐림정선군25.1℃
  • 흐림광양시22.8℃
  • 흐림북창원21.4℃
  • 흐림통영24.9℃
  • 흐림인천25.4℃
  • 흐림구미20.3℃
  • 흐림춘천24.0℃
  • 흐림태백21.9℃
  • 흐림강진군23.3℃
  • 흐림영천19.8℃
  • 흐림영덕22.1℃
  • 흐림제천23.7℃
  • 흐림남해21.3℃
  • 흐림상주20.1℃
  • 구름많음백령도25.5℃
  • 흐림서산24.6℃
  • 흐림양산시25.0℃
  • 흐림거창18.9℃
  • 흐림부여20.7℃
  • 비흑산도21.0℃
  • 흐림고창20.2℃
  • 흐림강릉25.9℃
  • 흐림밀양23.2℃
  • 흐림동해26.2℃
  • 흐림대관령19.8℃
  • 흐림수원25.9℃
  • 흐림순천22.0℃
  • 흐림충주24.3℃
  • 비대전19.8℃
  • 흐림해남20.9℃
  • 흐림홍천23.8℃
  • 흐림의령군20.6℃
  • 흐림북강릉25.4℃
  • 흐림고창군20.2℃
  • 흐림보령21.2℃
  • 흐림세종20.2℃
  • 흐림이천25.6℃
  • 비청주21.8℃
  • 흐림여수22.3℃
  • 흐림동두천23.2℃
  • 흐림진도군20.0℃
  • 구름많음고산29.1℃
  • 흐림양평24.3℃
  • 흐림순창군21.3℃
  • 흐림영광군19.5℃
  • 흐림김해시22.8℃
  • 흐림문경19.8℃
  • 흐림대구20.5℃
  • 흐림보성군24.0℃
  • 비울산22.2℃
  • 흐림서울25.7℃
  • 비안동19.7℃
  • 흐림산청20.5℃
  • 구름많음거제24.4℃
  • 흐림남원20.8℃
  • 흐림경주시21.4℃
  • 흐림의성21.1℃
  • 흐림보은19.2℃
  • 흐림영주20.2℃
  • 흐림영월24.7℃
  • 흐림파주22.6℃
  • 흐림서청주21.2℃
  • 비홍성23.6℃
  • 흐림봉화21.2℃
  • 흐림제주27.5℃
  • 흐림완도25.5℃
  • 흐림울진25.4℃
  • 흐림합천20.7℃
  • 흐림장흥23.8℃
  • 흐림장수18.8℃
  • 흐림울릉도24.8℃
  • 구름많음서귀포30.5℃
  • 흐림강화23.6℃
  • 흐림천안23.0℃
  • 비광주21.0℃
  • 흐림고흥24.7℃
  • 비창원21.3℃
  • 흐림북부산25.1℃
  • 흐림원주24.8℃

[칼럼] 큰 눈으로 시대를 바라보라 - 오대혁, 시인·문화평론가

고시위크 / 기사승인 : 2019-07-25 12:48:00
  • -
  • +
  • 인쇄

오대혁.JPG
 
 

볼을 받치고 커다란 눈으로 무언가를 응시하는 시인 김수영을 본다. 흑백사진 속에서 그는 작은 눈으로 큰 현실을 다루거나 작은 눈으로 현실을 다루지 말고 큰 눈으로 작은 현실을 다루게 되어야 할 것이다. 큰 눈은 지성이고 그런 큰 지성만이 현대시에서 독자를 리드할 수 있다.”(전집2, 385~386.)라고 말한다. 서거 50주년 기념으로 201812월에 나온 김수영 평전(실천문학사, 1982년이 초판)은 현대사의 격랑(激浪)과 그 파고의 정점에서 발휘되어야 할 큰 눈을 생각하게 한다.

평전은 일제로부터 해방정국, 6·25, 4·19, 5·16 등으로 이어지는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밀고나갔던 김수영의 거칠고 끈질긴 삶의 자취다. 의용군으로 끌려갔다가 거제 포로수용소에 들어가고 마침내 반공포로로 풀려나는 대목, 4·19혁명의 현장에서 일어서는 풀들을 목도하며 광장을 내달리는 장면, 군사독재의 틈바구니에서도 시여, 침을 뱉어라라고 부르짖으며 현실을 향해 소리치는 시인의 모습 등을 작가 최하림은 치밀하게 그려냈다. ‘머리로도 심장으로도 아닌 온몸으로 밀고 나감으로써 시를 창조해야 함을 보여준 김수영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발견. 생계를 위해 끊임없이 번역 일을 하고 가족과 어머니를 위해 닭장 주변을 서성이는 생활인을 보았다. “보석 같은 아내와 아들은 / 화롯불을 피워가며 병아리를 기르고 / 짓이긴 파 냄새가 술 취한 / 내 이마에 신약(神藥)처럼 생긋하다”(초봄의 뜰 안에에서). 소소한 일상의 소묘가 얼마나 지난한 파고를 뚫고 형성된 것인지를 느끼게 한다.

또한 격랑의 시대 속에서도 서울의 술집과 찻집을 종횡무진하며 벗들과 허물없이 사귀는 모습이 내 마음에 똬리를 틀었다. 희미한 조명등 아래 자리한 시인, 화가, 음악가, 소설가 들이 내뿜는 열기는 비루한 일상에 사로잡혀 사는 나를 깨운다.

4·19가 열광과 환희에서 배반당했을 때 그는 하여간 세상은 바꿔졌다. 무엇이 바꿔졌느냐 하면 나라와 역사를 움직이는 힘이 정부에 있지 않고 민중에 있다는 자각이 강해져 가고 있고”(338)라고 쓴다. 이 대목은 촛불혁명 이후 역사를 왜곡하며, 화합과 통일을 거부하는 세력들이 기승을 부리는 현실 상황과 오버랩 되게 한다.

그들은 불안하다. 라캉의 표현을 빌자면 불안을 일으키는 대상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대상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자크 라캉의 세미나읽기, p.322.) 불안하다. 분단 체제를 뒤집고 화합, 통일로 가는 노정이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준비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기존의 구조 안에서 사고한다. 반공 이데올로기로 전세 역전을 탐하지만 시대착오적이다. 모든 치유는 기존의 구조 밖으로 뛰쳐나가야만 가능하다. 일본과 미국의 정치적·경제적 개입에 따라 떡고물을 받아먹던 세력들은 온몸으로 뚫고 일어서는 민초의 힘을 모른다. 물론 민초들도 정부에 대해 불안감이 전혀 없지는 않다. 하지만 진정한 자유가 기존의 구조를 뚫고 나가야만 가능함을 민초들은 똑똑히 알고 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시위크
고시위크

기자의 인기기사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