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직자 5명 중 2명 채용 과정 중 불공정 경험…1위 ‘직무와 관련 없는 질문’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을’의 입장인 구직자 5명 중 2명이 실제 채용 과정 중 불공정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구직자 1,578명을 대상으로 ‘채용 공정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39%가 채용 과정에서 불공정함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불공정한 경험으로는 가족관계나 학벌, 결혼 여부 등 ‘직무와 관련 없는 질문’이라는 응답이 42.4%(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내정자가 있는 듯한 채용 진행’(42.3%)이 2위였고, 이어▲근무조건 등의 기재가 불분명함 27.6%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 몰림 25% ▲나보다 스펙과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이 합격 23.4% 등의 순이었다.
구직자들은 ‘서류전형’(44.9%, 복수응답)과 ‘실무 면접 전형’(42.1%)에서 불공정함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밖에 ‘임원 면접 전형’(29.3%), ‘연봉협상’(16.3%), ‘인·적성 및 필기 전형’(7%) 순으로 답했다.
특히 구직자들이 서류전형에서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재항목은 1위는 ‘연령’으로 (41.3%,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가족의 직업 및 재직 기업’(37.8%), ‘학벌’(35.7%), ‘학력’(28%), ‘보유재산’(24.7%), ‘성별’(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면접 질문 중 불공정한 요소가 있다고 생각되는 질문은 ‘결혼 및 출산계획 관련 질문’이 50.6%(복수응답)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나이 관련 질문’(45.4%), ‘종교, 정치성향 등 가치관 관련 질문’(35.2%), ‘가족 관련 질문’(34.7%) 등이 있었다.
이런 불공정한 채용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구직자는 블라인드 채용이 필요하다고 꼽았다. 더욱이 전체 응답자 중 67.1%가 블라인드 채용 과정을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32.9%는 블라인드 채용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어차피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돼서’라는 응답이 54.5%(복수응답)로 집계됐다.
다음으로는 △명확한 평가 기준이 없는 것 같아서 46.6% △채용 비리가 발생하기 더 쉬워서 30.1% △스펙을 제외하고 역량을 가려내기가 더 힘들어서 26.8% △평가 과정 중에 출신학교 등 스펙을 유추할 수 있어서 20% 등의 의견이 있었다.
실제로 블라인드 채용 경험자(363명) 중 37.7%는 채용 과정에서 불공정을 체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불공정함을 느낀 부분으로는 ‘면접에서 스펙을 유추할 수 있는 질문을 받음’(4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 질문이 집중됨’(43.8%), ‘면접 시 외모, 성별 등을 평가하는 것을 느낌’(32.8%), ‘나보다 스펙과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이 합격함’(27.7%)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