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코로나19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구직자들이 많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인재 영입이 쉽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중소기업 576곳을 대상으로 ‘2021 채용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올해 채용을 진행한 516개사 중 63.4%가 ‘계획한 인원을 채용하지 못했다’라고 밝혔다. 이는 2019년 조사 결과(55.6%) 대비 7.8%p 늘어난 수치다.
계획한 인원을 채용하지 못한 이유는 ‘적합한 인재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56.6%(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지원자 모수가 너무 적어서 54.4% ▲입사한 직원이 조기 퇴사해서 18.3% ▲합격자가 입사를 포기해서 17.1% ▲면접 등 후속 전형에 불참해서 16.8% ▲묻지 마 지원자가 많아서 15.9% 등이었다.
또 올해 채용한 인원은 애초 계획했던 인원의 평균 39.3%로 집계됐다. 목표 인원의 절반도 채 뽑지 못한 셈이다.
더욱이 45.3%의 기업이 지난해보다 올해 계획한 인원을 더 많이 채용하지 못했다고 답해, ‘지난해보다 많이 뽑았다’라는 응답(10.1%)의 4배에 달했다.
중소기업의 구인난은 올해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중소기업의 10곳 중 7곳(70.3%)이 평소에도 구인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구인난을 겪는 이유로는 ‘회사 규모가 작아서’라는 응답이 47.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연봉이 낮아서 43% △회사의 인지도가 낮아서 40.7% △근무지가 외곽에 있고 교통이 불편해서 20.5%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이 열악해서 20% △구직자가 꺼리는 업종이어서 19% △회사의 홍보, 마케팅이 부족해서 14.1%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응답 기업들은 중소기업의 구인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구직자의 인식 개선’(55%,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외에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처우 격차 감소’(41.7%), ‘중소기업 취업 지원정책 강화’(39.9%),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37.8%),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개선’(37%) 등이 있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