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실용성을 추구하는 MZ세대의 직업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최근 명문대를 졸업한 후 도배사를 선택하거나 호주에서 워킹 홀리데이를 하며 지게차를 모는 여성 기술자 등 현장에서 전문 기술을 발휘하며 일하는 청년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기술직은 힘든 일’이라는 편견을 깨고, 해당 직업을 선택해 본인 스스로의 만족감을 얻고 있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2030 MZ세대 2,081명을 대상으로 ‘기술직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10명 중 8명(79.1%)이 “수입 등 조건이 맞다면, 기술직을 할 의향이 있다”라고 응답했다.
기술직을 하고 싶은 이유로는 ‘능력이나 노력만큼 벌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55.7%(복수응답)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대체하기 어려운 기술로 ‘내 일’을 할 수 있어서 51.2% ▲정년 없이 계속 일할 수 있어서 39.2% ▲기술만 있으면 진입 장벽이 높지 않아서 36.8% ▲자유롭게 시간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28.7% ▲승진 압박, 사내 정치 등 조직 스트레스가 없어서 27.2%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관심이 가는 기술직으로는 ‘인테리어업자’가 31.3%(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미용, 뷰티업 종사자 30.2% △도배사, 미장사 28.1% △생산 기술직 22.8% △전기 기술직 20.6% △화물차, 지게차 등 중장비 기사 18.5% △건축 설계사 17.7% △항공 정비사 17.2% △목수 15.2% △용접사 9.2% 순이었다.
실제 기술직 취업의 필요한 조건으로는 ‘안정적인 수입’(50.6%, 복수응답)이 단연 많았다. 이외에도 ‘고수익’(38.2%), ‘직업 안정성’(38.1%), ‘정년 없이 근로 가능 여부’(31.3%), ‘적성’(28.5%), ‘성장 가능성과 비전’(27.7%), ‘기술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27.4%), ‘기술 진입장벽’(26.5%), ‘자유로운 시간 활용’(26.3%) 등이 보장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기술직 의향이 없는 응답자(434명)는 ‘육체노동이 많아 힘들 것 같아서’(42.9%), ‘업무환경이 열악할 것 같아서’(35%), ‘전문 기술을 배우는 것이 부담돼서’(27.2%), ‘수입이 안정적이지 않을 것 같아서’(22.8%), ‘현재 직업에 만족해서’(20.5%), ‘고용 안정성을 보장 받을 수 없어서’(20%) 등을 이유로 들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