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블라인드 채용과 수시 채용이 대세로 굳어지면서 예전에 큰 비중을 차지했던 학벌에 대한 평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90개사를 대상으로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 기업의 42.8%가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 같은 비율은 지난 2020년 같은 조사 53.5%과 비교하여 10.7%p 하락한 수치다.
다만, 학벌에 대한 평가는 기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대기업의 경우 학벌이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률이 66%였던 반면 중소기업은 38.3%에 불과했다.
실제로 과거에 비해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줄어들고 있다’는 답변이 49%였던 것에 반해 ‘늘어나고 있다’는 응답은 11%로 약 5배가량 낮았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이 없다는 이유는 단연 ‘업무 능력과 큰 연관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76.5%(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학벌 좋은 직원은 과한 대우를 원하거나 조기 퇴사 등을 많이 해서 28.9% ▲기존 채용 시 만족도가 낮아서 7.8% ▲기존 직원들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 6% 등이 있었다.
반면,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라는 응답이 66.1%(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지원자의 노력에 대한 인정 차원에서 38.7% △객관성이 있는 채용 조건이어서 27.4%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 12.9% △기존에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 12.1%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들 기업이 선호하는 학벌은 ‘서울대 등 서울 소재 상위 10위권 대학’이 51.6%(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소재 4년제 대학’(50%)이 바로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지방거점 국립대학’(38.7%), ‘카이스트 등 명문 특수대학’(9.7%)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