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6.1% 인사평가 불신 ‘상급자 주관적 평가 공정치 못해’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직장인이라면 열심히 일하고, 정당한 대가를 받기 희망한다. 하지만 현실은 늘 이상과 괴리가 있는 법.
최근 잡코리아가 직장인 610명(지난해 업무성과 바탕 인사평가 결과 확정받은 자)을 대상으로 ‘인사평가 결과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8명이 인사평가 후 이직을 결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기업에서 실시하는 업무성과 평가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이에 응답자 53.7%는 ‘공정하다’라고 답했고, 나머지 46.3%는 ‘회사의 인사평가 제도를 불신한다’라고 평가했다.
직장인들이 회사의 인사평가 제도를 불신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상급자의 주관적인 평가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71.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기업의 평가 제도가 허술하고 미흡해서 38.3% ▲직군과 업무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획일화된 기준으로 평가가 진행돼서 23.4% ▲사원급 등 특정 그룹에 하위 고과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서 13.5% 등의 순이었다.
더욱이 직장인 중에는 본인의 인사평가 결과에 만족하는 이들이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업무성과에 대한 인사평가 결과에 만족하는가?’라는 질문에 ‘만족스럽다’라고 답한 비율은 17.9%에 그쳤다.
반면 인사평가 결과에 ‘불만족한다’라고 답한 직장인들은 35.4%였고, 나머지 46.7%는 ‘만족스럽진 않지만 수긍한다’라고 답했다.
특히 업무성과 평가 결과에 대한 불만족 영향으로 이직을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78.9%가 ‘인사평가 결과로 인해 이직을 고민했다’라고 답했다. 이중, 39.7%는 ‘현재 적극적으로 구직활동 중’이라고 답했고 39.2%는 ‘곧 이직을 준비할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