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행정안전부 |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가 내년 3월 27일 시행되는 「돌봄통합지원법」을 앞두고, 통합돌봄 시범사업 지역인 광주광역시를 방문해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통합돌봄’은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과 장애인 등에게 건강·복지·주거·돌봄 서비스를 통합 제공해 ‘살던 곳에서의 삶’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광주시는 2023년부터 별도 신청이나 선별 절차 없이 전화 한 통으로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연결해주는 ‘광주다움 통합돌봄’을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모델은 2024년 정부혁신 왕중왕전에서 금상(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전국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11월 10일(월) 광주 서구 치평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통합돌봄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보건복지부·광주시청·5개 자치구·동 행정복지센터·보건소 담당자들이 함께해 시범사업 추진 현황과 지역별 사례를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통합돌봄이 현장에서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 보강·예산 지원·기관 간 협업 체계 강화 등의 의견을 제시했고, 두 부처는 “현장의 어려움을 반영해 제도 안착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윤 장관은 간담회 후 참석자들을 격려하며 “내년 3월 제도가 본격 시행되는 만큼, 지방정부가 돌봄 서비스의 실질적 주체로서 현장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호중 장관은 “통합돌봄 제도의 성공은 현장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며, “전담 인력 보강과 서비스 연계체계 확립을 통해 국민이 필요한 때에 적시에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