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역, 천호로데오거리, 홍대 레드로드 광장, 강서 미리내공원, 상산 어린이공원 등 5곳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난 다음 날인 14일 서울시가 청소년 밀집 지역 다섯 곳에서 연말 최대 규모의 ‘청소년 거리상담(아웃리치)’을 펼친다. 시험이 끝난 시기에 청소년들이 흔들리기 쉬운 점을 고려해, 가출 예방과 위기청소년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서울시는 청소년가출 예방과 가정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해 31개 청소년 관련 기관과 함께 홍대·신림·천호·강북·강서 등 5개 지역에서 오후 3시부터 9시까지 현장 상담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거리상담은 가정 갈등, 폭력, 방임 등으로 보호자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가정 밖 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고 지원하기 위해 서울시가 꾸준히 운영해온 사업이다.
올해만 해도 서울시는 3월·6월·9월·10월 총 네 번의 상담을 진행해 5,262명의 청소년을 만나 3만 8,386건의 지원을 제공했다. 이번 5차 상담은 2025년의 마지막 아웃리치다.
이번 아웃리치는 ▲강북구 상산어린이공원 ▲강동구 천호로데오거리 ▲관악구 신림역사 안 ▲강서구 미리내공원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 광장 등 청소년 유동 인구가 많은 핵심 거점에서 동시 진행된다.
청소년쉼터, 청소년센터, 상담복지센터 등 31개 기관에서 나온 11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청소년과 학부모 누구나 상담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상담 내용도 기존보다 폭넓다. 가정 내 갈등, 학업 스트레스, 학교폭력, 또래 관계 같은 일반 상담은 물론, 디지털 성범죄·온라인 유인 등 위험 상황 대응 교육, 지역안전망 안내 등 가출 예방 교육이 함께 제공된다. 현장에서는 응원배지 만들기, 소원나무 꾸미기 등 참여형 체험 부스도 운영된다.
특히 천호로데오거리에서는 청소년 진로 탐색을 지원하는 ‘서울시 일자리부르릉 버스’도 등장한다. 이는 서울시 여성능력개발원이 2009년부터 운영해온 찾아가는 일자리 서비스로, 진로 탐색, 직업적성 검사, 취업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취업 취약계층의 일자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이동형 서비스다.
서울시는 청소년 보호체계도 꾸준히 확장해왔다. 현재 17개 청소년쉼터와 2개 자립지원관을 통해 주거·학업·심리·자립을 종합 지원하고 있으며, 쉼터 퇴소 청소년에게는 자립수당·임대주택·자립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안정적인 사회 복귀를 돕고 있다.
정진우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청소년 거리상담은 위기 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고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보호·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