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기업 10곳 중 4곳은 직원 채용 시 디지털 지식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T 직무가 아닌 일반직무에도 디지털 지식을 평가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기업의 성장을 위해 구성원의 디지털 능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80개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평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5%가 기업 경영과 사업전략에 있어 ‘디지털 기술 반영 비중이 커진다’라고 답했다.
또 기업 10곳 중 4곳에서 IT 직무가 아닌 일반직 채용에서도 ‘디지털 지식을 채용평가에 반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이 디지털 지식을 채용평가에 반영하는 이유는 ‘대부분 직무에 디지털 기술을 반영하고 있어서’라는 응답이 58.9%(복수응답)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요한 역량 중 하나라고 생각해서’(34.8%), ‘전사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어서’(30.4%),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이해하는게 중요해서’(24.1%)의 이유가 있었다.
디지털 역량 평가방식은 ‘디지털 툴, 프로그램 사용 여부 확인’이 59.8%(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디지털 용어 등 상식 평가’(37.5%), ‘전문지식, 기술 습득 확인’(24.1%) 순이었다.
실제로 디지털 기술 직무 채용 비중도 늘었다. 응답 기업의 47.5%가 ‘디지털 인재 수요가 늘었다’라고 답했다.
제도운영을 통해 디지털 역량 강화를 시도하는 기업도 59.3%로 절반 이상이었다. 주로 ‘기존 직원 재교육 실시’가 72.3%(복수응답)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외 ‘필수적으로 내부 교육 과정 개설’(22.3%), ‘신설팀 증설로 디지털 업무 지원’(18.1%) 등을 하고 있었다.
한편 기업들이 최근 채용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지원자의 역량 1위는 ‘문제해결 능력’(28.2%)이었다.
이어 △성실성 24.3% △책임감 20% △소통능력 15.7% △열정 3.6% △창의력 2.9% △도전정신 2.1% 등이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