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독서 문화 활성화 및 출판 산업 고도화 성장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한국출판학회는 지난 24일 서울 마인드월드빌딩에서 제45회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시니어 세대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독서 행태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발제는 신명환 경기대 겸임교수가 ‘시니어의 미디어 이용 특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신 교수는 시니어 세대가 타 연령층에 비해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프라이버시 침해로부터의 안전성이 낮다고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한국폴리텍대 윤미진 교수가 ‘시니어의 온·오프라인 미디어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 구매 현황과 특성’에 대해 발표했다. 윤 교수는 시니어 독자들이 제2의 인생을 주도적이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특성과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시니어들은 경제적 여유와 시간적 여유를 활용해 독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세 번째 발제는 신영사 권오현 이사가 ‘시니어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독자 세분화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행했다. 권 이사는 대부분의 통계가 시니어 독자를 단순히 연령으로만 구분하고 있다는 점을 꼬집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시니어 개별적 특성, 독서 형태 등을 기준으로 한 세분화 전략을 내놓았다.
네 번째 발제는 가천대 이장석 교수와 중앙대 노은청 박사가 맡았다. 이들은 라이프스타일 측정 모델인 VALS2를 이용해 시니어의 사회심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맞춤형 독서 마케팅 전략을 제안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시니어 독자들의 독서 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판 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시니어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도서와 독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이들의 독서 문화를 활성화하고 출판 산업의 고도화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한국출판학회 김선남 회장은 “이 세미나가 시니어의 책 읽기 열풍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시니어 독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출판 산업이 시니어 세대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도서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독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