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 중 개편 방안 마련해 시도교육청 및 학교 안내 예정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교육부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직업능력연구원과 함께 지난 14일 서울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 개편 방향’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교원의 자기주도적 성장을 지원하는 새로운 평가 제도를 구축하기 위해 열렸으며,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온라인 참여는 유튜브 채널(교육부)을 통해 가능하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0년부터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원의 교육활동을 평가하고, 맞춤형 연수를 지원함으로써 교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학생 만족도 조사에서 교권 침해 사례가 발생하고, 학교 현장에서 업무 부담과 제도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제도 개선 요구가 이어져 왔다.
교육부는 지난해 9월 ‘제1차 부총리-현장 교원과의 대화’에서 서술형 평가를 폐지하고, 현장 교원들과 함께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전면 개편할 것을 발표했다. 이후 현장 교원 정책 전담팀, 정책연구, 시도교육청 및 정책 수요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개편 방안 시안을 마련했다.
개편 방안의 핵심은 기존 교원능력개발평가를 폐지하고, 교원의 역량 개발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가칭) 교원역량개발지원제도’로 재설계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동료교원에 의한 진단, 학생인식조사, 자기역량 진단 결과를 활용해 교원의 교육활동을 개선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연수 추천 및 보상(인센티브) 확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교권 침해 사례를 야기했던 서술형 평가와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와 연계된 능력향상연수는 폐지되며, 학부모 만족도 조사는 학교평가를 통해 대체된다.
정책 토론회에서는 공주교대 전제상 교수의 ‘교원의 자기주도적 성장 지원 방안’ 발제를 시작으로, 대구교대 정성수 교수가 정책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개편 방향을 제안하고, 교육부가 마련한 교원능력개발평가 개편 방안 시안의 주요 내용을 안내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교원단체, 학부모, 학생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교육부는 이번 토론회 이후에도 온라인 의견 수렴을 통해 시안을 보완하고, 올해 9월 중 개편 방안을 마련해 시도교육청 및 학교에 안내할 계획이다.
김연석 책임교육정책실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다양한 의견이 수렴되고, 교원이 교육전문가로서 존중받고 자기주도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