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올해 전면 도입된 고교학점제와 관련해 교육 현장의 불편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개선안이 금년 하반기 중 마련된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교사, 교수, 학생, 학부모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권고안을 바탕으로 학점제 개선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고교학점제는 학생 스스로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이수하도록 하는 제도로, 미래형 교육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도입됐다. 그러나 시행 초기부터 ▲과목 개설과 운영에 따른 교사의 업무 증가 ▲모든 과목에서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해야 하는 지도 부담 ▲학생·학부모의 제도 이해 부족 등으로 인해 현장에서는 지속적인 어려움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개선안에 반영하기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교사 10명, 교수 2명, 학생 2명, 학부모 2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됐으며, 쟁점 정리와 집중 토의를 통해 실효성 높은 권고안을 마련하게 된다.
교육부는 그간 ▲교원단체 및 교원노조 간담회(4~7월, 총 7회) ▲17개 시도별 고교 34교 현장 점검 ▲현직 교육과정 부장으로 구성된 모니터링단 정례회의(3회) ▲시도교육청 담당자 회의(5회) 등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해 왔다.
다만 고교 내신평가 방식과 관련된 사항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중장기 발전계획 및 차기 대입개편안 수립 시 논의할 예정으로, 이번 개선안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이번 고교학점제 개선 논의를 통해 교사의 업무 부담과 학생·학부모의 불안을 덜어드릴 계획”이라며, “교육부는 앞으로도 현장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해 고교학점제의 방향성과 취지를 유지하면서도 현장 적응을 돕기 위한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