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고2 학생 3% 표집, 학업 성취 수준 및 변화 추이 분석
올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학교 3학년은 10일(화), 고등학교 2학년은 24일(화)에 실시한다.
이번 평가는 중3과 고2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을 진단하고 학업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매년 시행되며, 표집된 524개 학교(중학교 285개교, 고등학교 239개교)에서 교과별 학업 성취도와 비인지적 특성(사회·정서적 역량, 학교생활 만족도)을 진단한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매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 중 3%를 표집하여 진행된다.
평가는 PC·노트북을 활용한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교과별로 45분에서 50분간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의 과목을 평가한다.
중학교의 경우 5개 교과(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고등학교는 3개 교과(국어, 수학, 영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또한, 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역량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도 병행된다.
평가 결과는 국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점검하고, 향후 교육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학생들에게는 교과별 성취수준(4단계) 및 세부 영역별 성취율 등 구체적인 학습 정보가 제공된다.
교육부는 이번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의 질 향상과 맞춤형 지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