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통상 갈등 여파에 산업별 고용 둔화 우려…청년·취약계층 중심 대응책 강화
1분기 공공일자리 110만 명 달성…고용애로 핫라인 통한 현장 제도개선도 속도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 격화로 인해 국내 수출산업 고용 둔화 가능성이 커지자 정부가 제조업과 청년고용을 중심으로 이중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범부처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고용 위기 지역 지정 검토와 함께, 청년 및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도 전방위로 강화된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6일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 회의’를 주재하며 “최근 통상환경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정도로 불확실하다”며 “제조업과 수출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악화가 확산될 수 있는 만큼, 산업별·지역별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대응카드를 미리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고용노동부가 추진 중인 ▲대학일자리센터 기반의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미래내일일경험 ▲K-디지털트레이닝 등 ‘청년고용 6대 핵심사업’의 추진상황도 논의됐다.
정부는 재학·구직·재직 전 단계에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고립·은둔형 청년 등 고용 취약계층 발굴 및 지원을 위해 교육부, 복지부, 지자체, 고용센터와의 협업 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데 구조적 어려움이 있는 만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성과를 내기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공부문 직접일자리 사업은 2025년 채용계획(123.9만 명)의 90%에 달하는 110.8만 명을 1분기 내에 채용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정부는 상반기 목표인 120만 명을 무난히 초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집행관리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경제단체와 함께 운영 중인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을 통해 현장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 중이다. 이 제도를 통해 반도체 연구개발 분야 특별연장근로 인가 기준을 보완하고,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의 최소 근로시간 요건을 기존 ‘주 30시간’에서 ‘주 28시간’으로 완화하는 제도 개선을 이끌어냈다.
김 차관은 “5월 정례회의에서는 추가 개선과제를 논의할 예정”이라며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