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제53회 변리사 시험 결과, 최종 211명의 신규 변리사가 탄생했다. 이번 2차 시험 합격률은 18.2%를 기록하였으며 지난해(19.3%)보다는 소폭 하락한 수치다. 합격선은 58.25점으로 2015년 대비 4점 올랐으며, 최근 6년간 변리사 2차 시험 합격선을 살펴보면 ▲2010년 57.41점 ▲2011년 56.83점 ▲2012년 59.50점 ▲2013년 56.91점 ▲2014년 58.58점 ▲2015년 54.25점 ▲2016년 58.25점을 기록했다. 다만, 최고득점은 71.16점으로 2015년보다 4.67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6년 변리사 1차 시험은 2015년도와 비슷한 수준의 난이도라는 평이 중론이었다. 더욱이 2015년 수험생들을 과락의 늪으로 빠뜨린 자연과학개론이 지난해는 크게 어렵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과락률이 2015년 대비 13.13%p(2015년 자연과학개론 과락률 38.10%) 낮아졌다. 과목별 과락률을 살펴보면 △산업재산권법 22.01% △민법개론 19.33% △자연과학개론 24.97%로 기록됐다.
이에 본지는 2016년 변리사 1차 시험 문제를 출제한 출제위원들의 출제평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호는 그 세 번째 시간으로 자연과학개론 과목의 출제평을 살펴봤다.
▶출제의 기본방향은?
과락률이 2015년대비 13.13%p 하락하긴 했지만 2016년도 1차 시험 중 과락률이 가장 높았던 자연과학개론은 매해 수험생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과목이다. 2016년도 제53회 변리사 1차 시험 자연과학개론 과목에 대해 출제위원은 “자연과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의 문제를 출제했다”고 밝히면서 “특히, 물리와 화학은 원리위주의 문제를 구성하였고, 생물과 지구과학은 현상학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객관성이 높은 문제위주로 출제하였다”고 설명했다.
▶난이도 조절
문항유형과 난이도에 대해서는 우선, 문제유형의 경우 과년도와 마찬가지로 선택형 위주로 출제하여 단편적인 지식으로 해결가능한 문제보다는 생각하면서 풀어야 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고 말했다. 다만, 각 영역별로 기존의 출제된 문제의 틀과 내용은 유지하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문제 출제 시 강조점은?
문제 출제 시 강조점에 대해서 출제위원은 “출제 경향을 이어가고자 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되도록 단순한 문제풀이보다는 응용이 가미된 문제로 구성하려 했다며 향후 자연과학개론 과목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응용에 가장 큰 무게를 두고 출제된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