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2년부터 정부가 추진해 온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에 따라 지방에서도 여성관리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2016년 6월 12.1%인 5급 이상 지방 여성공무원 비율을 2021년까지 16.4%로 높이는 ‘제4차 관리직 여성공무원 임용확대계획’을 발표했다.
지방자치단체 5급 이상 관리직 여성공무원은 1995년 당시 604명(3.6%)에 불과했으나, 20여년 만에 2,617명(12.1%)으로 4배 이상(2,013명) 증가했다. 또 6급 이상 여성공무원 수는 24,437명(26.5%)으로 20여년 전 2,287명(4.2%)과 비교해 볼 때 10배 넘게 늘어나는 등 공직사회 내 여성공무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시‧도별로는 서울시가 20.3%로 가장 높았으며, 광주(15.3%), 부산(14.7%)이 그 뒤를 이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서울 영등포구(33.3%)가 유일하게 30%를 돌파하여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서울 중구(28.6%), 서울 노원구(26.1%)의 순으로 조사됐다.
직급별로는 5급 여성관리자 비율이 12.4%이고, 4급은 8.2%, 3급 이상은 6.0%이다. 특히 3급 이상 여성공무원은 ’95년 2명에서 지난해에는 54명으로 증가하여 여성 고위공무원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신현숙 전남 보건복지국장은 “조직에서의 합리적인 인사관행이 정착되고 있고, 열정적인 여성공무원이 늘어나고 있다”며 “본인 역시도 일‧가정 양립이 힘들어 승진을 포기할까도 많이 고민했지만, 공직사회가 유리천장을 깨트리기에 모범을 보여 민간 부문을 적극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임용확대 목표는 각 시‧도의 6급 여성비율 등 인사운영 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변수 5개를 선정하고, 영향도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정했다. 대체로 광역시보다 도 단위의 실적이 낮아, 이번 4차 계획에서는 도 단위의 목표를 보다 적극적으로 설정했다고 행자부는 밝혔다. 또한 이러한 목표제 외에도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한 여성 관리직 육성을 위해 육아휴직제도 개선, 시간선택제 근무 및 유연근무제 활성화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여성공무원의 변화에 맞춰 여성관리자 임용목표를 현실에 맞게 매년 연동하여 조정하고, 여성공무원들이 출산‧육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관리자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행정자치부가 적극적으로 인사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