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준비생들이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항목 1위는 ‘급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0일 한국고용정보원과 청년희망재단이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청년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을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숙명여대 이영민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청년 삶의 질 조사’ 결과에서 밝혀졌다.
‘취업준비생이 직장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복수응답)은?’이란 설문에 응답자들은 급여수준(82.2%), 복리후생(53.5%), 고용안정성(50.1%)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재직청년이 현 직장을 선택한 이유(복수응답)는 전공을 살리기 위해서(37.0%), 고용안정성(35.7%), 원하는 직무였기 때문에(34.5%) 순으로 확인됐다.
또 취업준비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곳은 공공기관으로 전체 37.9%를 기록했고, 중앙부처·지자체 공무원은 23.2%를 기록해 2번째로 높았다. 이어 중소기업 17.9%, 대기업 15.1% 순이었다.
취업 후 희망하는 평균 연봉 수준은 3005만원으로 남성은 3172만원, 여성은 2928만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조금 많았다. 취업준비생이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은 80%로, 연봉과 복리후생이 적정하다면 중소기업에 가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생의 취업 준비 활동(복수 응답)은 자격증 취득(59.3%), 이력서 작성·면접 준비 등 구직활동(54.2%), 외국어 공부(47.2%)순이었고, 취업준비를 하는데 어려운 점은 심리적 스트레스(63.3%, 복수응답)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취업성공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취업준비생은 직무경험, 전공, 학벌이라고 인식했으나 실제 취업한 청년은 학벌보다 전공(31.1%), 인턴 등 직무경험(13.3%) 등을 높게 인식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한국고용정보원 이재흥 원장은 “청년희망재단과 함께한 이번 실태조사가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청년에 대한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이뤄지길 바라며, 고용에 국한되지 않고 청년의 삶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개발 및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청년희망재단 박희재 이사장은 “청년들의 목소리가 담긴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청년들의 삶이 윤택해지기 위해서는 단순 일자리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다각적 측면으로 접근해 엉킨 실타래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라며 “이러한 조사를 통해 청년들의 전반적인 삶의 애로사항을 수렴해 청년들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청년들의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만 19~34세 청년을 3개 집단으로 구분해 실시됐으며 1578건이 조사됐다. 조사 내용은 취업 및 고용, 자기계발, 주거·생활, 여가·문화, 가족·인간관계, 정신·신체건강, 금융·채무, 연애·결혼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됐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