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시위크=김민주 기자] 앞으로 공직 내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고, 장애인이 차별 없이 일할 수 있는 포용적 공직사회에 한 발 더 다가간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장애인 공직 채용 확대와 장애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 등 3개 분야 15개 주요 정책과제를 담은 ‘장애인 채용 확대 및 근무환경 개선 방안’을 16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이번 개선 방안은 장애인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와 중증 장애인 공무원 간담회 및 실태조사 등 현장의 소리를 담아 마련됐다. 그동안 정부의 장애인 정책이 양적 확대에 머물렀던 것에서 나아가 장애인이 차별 없이 일할 수 있는 제반 여건 구축, 장애 공감 문화 조성 등을 위한 과제를 종합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개선 방안을 보면 먼저, 정부 내 장애인 고용기회를 더욱 확대한다. 인사혁신처는 고용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함께 부처별 직무 분석을 통해 정부 내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를 적극 발굴하고 확대할 예정이다.
상대적으로 취업 여건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경력 채용 요건 완화 등 관련 시험 제도 개선도 추진키로 했다. 또 공채 시험 면접 위원을 대상으로 장애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장애 수험생 맞춤형 편의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장애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도 다양하게 추진된다. 현재 장애인 공무원에게 제공되고 있는 점자단말기, 점자프린터 등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을 다양화하고, 장애인 공무원의 재활치료를 위한 병가 사용을 제도화하여 장애 관리로 인한 근무상 애로를 해소한다. 이밖에 공직 내 장애 감수성 확산을 위한 교육과 실태점검 등도 강화하기로 했다.
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은 “정부가 장애인을 적극 채용하는 것은 이들에게 자립 기반을 제공하고 장애 인권과 형평성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여 포용국가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라며 “정부가 모범고용주로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연내 추진 가능한 과제들은 신속하게 추진하여 공직사회가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