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 ‘주거 안심 치안 종합계획’ 추진...서울시와 협업사업 연계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김민주 기자] 서울경찰청은 자치경찰제 시행 원년을 맞아 서울경찰의 첫 번째 범죄예방 정책으로 ‘서울 주거 안심 치안 종합계획’을 지난 3월부터 추진한 결과, 전년 동기간(3~5月) 대비 주거침입범죄가 38.9%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최근 5년간 5대 범죄는 감소하고 있으나 주거침입범죄는 증가 추세로, 늘어나는 여성1인가구가 범죄취약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범죄에 취약한 여성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거침입범죄를 획기적으로 줄여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서울청은 ▲‘주거안심구역’ 지정, 범죄예방활동 집중 전개 ▲서울경찰청-서울시 間 협업사업 연계]의 Two-Track 방식으로 접근하여 추진 중이다.
우선 31개 경찰서 관내 여성1인가구 밀집지역에 ‘주거안심구역’ 51개소를 선정하여,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CPTED)을 집중해 왔다. 특히, 범죄예방진단팀(CPO)을 중심으로 대학가, 원룸촌 등 ‘주거안심구역’별 특성에 따른 각종 범죄취약 요소를 수시 진단하고, 진단된 내용을 바탕으로 총 예산 104억 원을 투입해 서울 전역에 주거침입 예방을 위한 86개의 환경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최근 여대 주변 스토킹 행위 등을 계기로 여성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여대 주변 여성범죄 대응강화 종합 대책”을 수립, 이번 계획과 연계하여 시행하고 있다. 서울 소재 주요 여대 7개소 주변 치안 통계를 분석하여 ‘주거안심구역’으로 지정하였으며 △환경개선 및 가시적 순찰 강화 △여성범죄 초동 대응 시스템 구축 △피해자 보호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한편, 서울경찰청과 서울시는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한 각종 핵심 정책들을 연계하는 등 자치경찰제 시행에 맞춰 상호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여성 1인가구 안심지원 사업”에 서울경찰청의 범죄분석자료를 제공하여 ‘주거안심구역’ 內 사업지를 조성, 여성1인가구에 안심홈세트, 여성1인운영 점포에 비상벨 설치 지원을 하고 있다.
장하연 서울경찰청장은, “범죄는 발생하고 나면 피해 회복이 매우 어려운 만큼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이번 ‘서울 주거 안심 치안 종합계획’을 통해 서울이 가장 안전한 도시로 한 단계 도약될 것으로 기대하고, 자치경찰제 시행에 발맞춰 시민의 안전을 첫 번째 목표로 서울시와 범죄예방 환경조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