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이 직장인 13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블루칼라 일자리 인식 조사'의 결과를 공개했다. (자료 제공=벼륙시장)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사무직 직장인들은 개인적으로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만, 사회적 인식은 아직 부정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벼룩시장이 2일 사무직과 블루칼라 직장인 1,3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블루칼라 일자리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무직 직장인 중 61.1%가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한, 블루칼라 직종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51.5%가 ‘그렇다’고 답하며 개인적 인식에서는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한 호의적인 시각이 드러났다.
블루칼라 일자리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사무직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노력한 만큼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아서(33.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년 없이 일할 수 있을 것 같아서(27.0%) ▲승진, 실적 등 조직 생활의 스트레스가 덜할 것 같아서(14.6%) 등이 뒤를 이었다. 그 밖에 ▲사무직보다 시간 활용이 자유로울 것 같아서(10.8%) ▲진입장벽이 높지 않을 것 같아서(8.9%)라는 의견도 있었다.
블루칼라 직종에 대한 선호 업직종으로는 △도배·미장(14.6%) △생산기술직(13.7%) △미용·관리업(13.0%)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전기기술직(9.8%) △인테리어업(9.5%) △택배·물류업(7.9%) △화물차·중장비(7.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블루칼라 일자리에 취업할 의향이 없다고 답한 사무직 직장인들은 가장 큰 이유로 ‘육체적으로 힘들 것 같아서(45.0%)’를 들었다. 이외에도 ▲업무 환경이 열악할 것 같아서(22.5%) ▲전문 기술을 배우는 것이 부담스러워서(12.5%) ▲노동 대비 돈을 많이 벌지 못할 것 같아서(9.2%) ▲고용 안정성이 떨어질 것 같아서(7.5%) 등의 이유로 블루칼라 직종을 꺼렸다.
사무직 직장인들은 개인적으로는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물었을 때, ‘긍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29.1%에 불과했고, ‘부정적’이라는 답변은 57.5%에 달했다.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근로환경 개선(39.1%) △숙련 노동자에 대한 대우(35.4%)가 꼽혔다. 그 밖에 △고용정책 변화(14.7%) △부정적·비하 표현 퇴출(7.1%) △학교 등 기관에서의 올바른 교육(3.7%) 등의 의견도 있었다.
실제 블루칼라 일자리에 종사하는 이들의 생각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블루칼라 직장인들에게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50.2%가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사무직 대비 시간 활용이 자유로워서(27.8%)’가 가장 많았고, 이어 ▲노력한 만큼 돈을 벌 수 있어서(25.7%) ▲정년 없이 일할 수 있어서(23.6%) 등의 답변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고용 안정성이 떨어져서(27.4%) △육체적으로 힘들어서(26.3%) △노동 대비 돈을 많이 벌지 못해서(24.2%) 등의 응답이 주를 이뤘다. △업무 환경이 열악해서(16.8%) △커리어 발전이 어려워서(3.2%)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아서(2.1%)라는 의견도 있었다.
블루칼라 직장인들 역시 블루칼라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응답자의 33.5%만이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51.0%가 ‘부정적’, 나머지 15.5%가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숙련 노동자에 대한 정당한 대우(38.5%)’와 ‘근로환경 개선(28.5%)’, ‘고용정책 변화(21.3%)’ 등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근로환경 개선과 숙련 노동자에 대한 대우를 통해 블루칼라 일자리의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