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출연연 벽 허물고, 청소년부터 산업인력까지 전 주기 우주항공 인재 양성 본격화
우주 인재 키워 5대 우주강국 도약…초·중생부터 기업 종사자까지 전방위 지원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정부가 항공·우주와 미래모빌리티 분야 인재 양성 청사진을 내놓으며,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5대 첨단분야(A·B·C·D·E) 인재양성 전략을 완성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돌입한다.
19일 오후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된 제4차 인재양성전략회의에서 정부는 ▲대학과 출연연구기관의 벽을 허물어 혁신 연구생태계를 조성하고 ▲청소년부터 산업현장까지 아우르는 ‘우주 인재 전 주기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회의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했으며, 교육·산업·연구계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해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의 인재 전략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먼저 대학-출연연 협력을 강화해 세계 수준의 교육·연구 역량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를 위해 ▲인적·물적 칸막이 제거 ▲공동 연구·성과 확산 시스템 구축 ▲개방형 R&D 생태계 전환 등 3대 전략을 추진한다.
출연연 인프라를 대학 수업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설립·운영규정’ 개정을 추진하고, 공동연구소·공동연구실 설치 확대, 연봉 상한 해제, 월 최대 900만 원 연구팀 지원 등을 통해 인력 유입과 협력을 유도한다.
또한 학연 공동기술이전센터, 기술지주회사의 규제완화, 공공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 정례 교류협의체 ‘학연 협력 스퀘어’ 운영 등을 통해 산·학·연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두 번째 안건인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인재양성 방안’에서는 유소년부터 전문기술 인력까지 전 생애주기별 인재 양성 체계(STAR)를 공개했다.
▲S(Student): 청소년 대상 우주교육 활성화를 위해 늘봄학교,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등을 연계해 스페이스 캠프, AI 기반 STEM 교육, 큐브위성 대회 등을 진행하고, 천문대·우주 관련 기관과도 협력한다.
▲T(Technology): 전략기술을 접목한 우주항공 R&D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대학 중심 특화전공 신설, 부트캠프 방식의 실무교육(’25~’28년간 1,200명) 등을 통해 지역 정착형 전문 인재를 육성한다.
▲A(Ability): 기업의 요구에 맞춘 직무역량 강화 교육과 산업체 주도 인재양성 아카데미 운영, 청년 대상 일경험 지원, 재직자 역량 강화 훈련 등 현장 중심 인재 양성도 강화한다.
▲R(Relations): 글로벌 우주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 공동연구 및 인재 교류를 확대하고, 국내 인프라 공유 체계를 구축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연구역량 제고를 지원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회의에서 “대학과 출연연 간의 벽을 허물고 세계적 수준의 교육과 연구역량을 확보해,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며, “우주항공 분야 인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5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려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정부는 ▲A(항공우주) ▲B(바이오헬스) ▲C(반도체) ▲D(디지털) ▲E(환경·에너지) 등 5대 핵심 첨단분야에 대한 인재전략 로드맵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