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돌봄통합지원센터’ 순차적 설치, 지역 내 맞춤형 돌봄 제공
고난도 중증 어르신·장애인 돌봄 강화...2인 1조 돌봄 서비스 지원
종사자 처우 개선 및 스마트 장비 도입으로 돌봄서비스 질 향상
서울시는 돌봄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안심돌봄 120’ 상담콜센터와 ‘사회서비스지원센터’를 10월에 도입·운영하며,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원스톱 상담과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부터는 ‘돌봄통합지원센터’를 순차적으로 개관해 지역 내에서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난도 돌봄 대상자에게는 2인 1조 돌봄 서비스와 추가 인건비 지원을 통해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들에게 신속하고 편리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울시 돌봄서비스 공공성 강화계획’을 9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5년간 총 8,786억 원을 투입해 돌봄 지원을 확대하고, 민간 돌봄기관을 관리·지원하는 ‘사회서비스지원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시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이 직접 기관을 방문하지 않아도 전화 한 통으로 돌봄 서비스를 상담받고 연계받을 수 있는 ‘안심돌봄 120’ 상담콜센터를 10월부터 시범 운영한다. 시민들은 120다산콜센터로 전화해 돌봄에 관한 정보를 빠르게 안내받고, 적합한 돌봄 기관과 연계될 수 있다. 특히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카카오톡 상담센터도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돌봄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담 기구인 ‘사회서비스지원센터’가 10월 서울시복지재단 내에 개관한다. 이 센터는 민간 돌봄 기관의 질적 향상을 지원하고, 돌봄 서비스 간 연계·조정을 통해 공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돌봄 수요와 공급을 분석해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민간 돌봄 기관에 대한 교육과 자문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시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필요한 돌봄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받을 수 있는 ‘돌봄통합지원센터’가 자치구별로 순차적으로 개관한다. 돌봄통합지원센터는 어르신,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고, 그들의 건강 상태와 주거 환경에 맞는 돌봄 서비스를 연계하는 패키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범 운영 후 3년 내에 자치구별로 1곳 이상 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돌봄이 필요한 고난도 중증 어르신과 장애인에게는 2인 1조 돌봄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서울형 좋은돌봄인증기관’과 연계해 추가 인건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명절이나 연휴에도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을 위해 ‘명절·연휴 특별급여’ 제도를 도입해 돌봄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돌봄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경제적 보상과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했다. 고난도 중증 환자를 돌보는 종사자에게는 추가 수당을 지급하고, 배설 케어를 돕는 웨어러블 로봇과 같은 첨단 장비를 도입해 업무 강도를 낮출 예정이다. 또한, 법률·성희롱·심리 상담을 지원해 감정 노동에 시달리는 종사자들을 위한 보호책도 마련한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실장은 “이번 대책은 돌봄서비스의 공백을 막고,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양질의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좋은 돌봄’을 책임지기 위해 현장과 소통하며 지속적으로 정책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